목적: 여성 복압성 요실금의 수술 방법인 TOT와 TVT-O의 효과를 후향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2003년 1월 1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본원에 내원한 복압성 요실금 환자 중 184명 (TOT)과 136명 (TVT-O)의 환자별 임상적 특성, 수술 전 실시했던 요역동학 검사와 Q-tip 검사, 수술의 성취도, 평균 수술시간, 수술 후 평균 재원기간, 수술후 합병증 등을 서로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 Q-tip test에서 두 군 모두 요도의 과운동성을 보였으며, 요역동학 검사에서 평균최대요속과 잔뇨량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내인성 요도괄약근 부전증은 TVT-O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의 성취도 는 각각 3명 (TOT), 4명 (TVT-O) 에서 치료 실패를 보인 것 이외에 모두 수술이 성공적이었다. 수술시간, 입원기간, 헤모글로빈 변화량은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으로 TOT군에서는 수술 부위 미란이, TVT-O군에서는 대퇴부 혹은 질 통증이 가장 많았다. 그 외에 요정체, 절박뇨, 요로감염 등이 관찰되었다.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은 TOT군과 TVT-O군에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동반수술 없이 TOT만 시행한 경우와 질벽 교정술을 함께 시행한 경우 합병증 발생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TVT-O군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질벽 교정술을 동반했다고 해서 합병증의 발생률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TOT군에서 내인성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없었던 경우와 있었던 경우의 합병증 발생률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VT-O군에서도 내인성 요도괄약근 부전증이 없었던 경우와 있었던 경우의 합병증 발생률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합병증 발생률과 내인성 요도괄약근 부전증 여부와는 큰 관련성이 없다고 볼 수 있었다. 결론: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 및 그 치료 효과가 TOT군과 TVT-O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볼 때 TOT와 TVT-O 모두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compare the outcomes of the ``outside-in`` (TOT) and ``inside-out`` (TVT-O) transobturator tape procedures for surgical treatment of female urinary incontinence. Methods: We enrolled 320 stress urinary incontinence women who could be followed-up and they underwent the TOT procedure (N=184) and TVT-O procedure (N=136) from January 1, 2003 to June 30, 2006. The preoperative evaluation included a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residual urine check, pad test, Q-tip test and urodynamic test. And we investigated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success rates, operation times, concomitant surgeries, hospital days, hemoglobin changes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urodynamic tests except the intrinsic sphincter deficiency rate (ISD: 5.6% vs. 30.6%, p=0.000). The success rate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98.4% vs. 97.8%). Most common complication of TOT group is operation site erosion (2.1%), and TVT-O group is thigh or vaginal pain (3.6%). There were noted other complications, such as postoperative urinary retention, de novo urgency and urinary tract infection. Total complication rates of both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7.6% vs. 9.5%, p=0.415). There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in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s of between only TOT group and TOT with colporrhaphy group (p=0.371), also between only TVT-O group and TVT-O with colporrhaphy group (p=0.692). There were no correlation with ISD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TOT (p=0.373) and TVT-O group (p=0.082). Conclusions: The two procedures of transobturator tape procedure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ppear to be equally effective and safe. However, long-term follow-up, surgeons` learning course, skill and experience for transobturator tape procedures should be evaluated at fur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