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 보았다. 한국문화 교육의 필요성은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 문화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이해를 증진시켜 문화 간 의사소통을 배양하고, 동시에 의사소통 능력의 고급화를 지향하며,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문화적 담론에도 동참할 수 있는 수준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음을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문화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살펴 보았다. 그동안 제시되어 온 보편화된 문화교육의 내용의 성과를 바탕으로 단계별 심화 및 개별성에서 통합성으로의 지향을 모색했고, 그 방법에 대해서도 문화 어휘 분석, 동영상 수업 문화현장 체험 학습 등 몇 가지의 방법론적 틀을 제시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한국고전문학을 활용한 문화교육에 대해 고찰하였다. 설화에서는 <단군신화>와 민담 <나뭇꾼과 선녀>를 세계적 보편성과 한국적 특수성을 잘 구별하여 외국인 학습자가 우리 민족의 생활문화의 원형, 민족적 가치관, 민속적 이해로 잘 파악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셋째, 속담의 경우, 한.중.일,영어권 4개국의 유사 속담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 분석함으로써 세 나라 간의 문화의 차이점 및 특수성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단계별 문화교육 내용을 설정하고, 여기에 적합한 문학자료를 선별하는 작업이 공동연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문학자료를 통해 한국문화의 학습내용을 학제간 협조를 통해 풍부하게 자료화하여 교재개발에도 힘써야 할 것으로 보았다.
This essay explores the educating plan of Korean culture to the foreign students. In Chapter two, the essay investigates the needs of educating Korean culture to the foreigners. The necessity of educating Korean culture helps the foreign learners to have more interest and understanding which cultivate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it heads for the higher levels of communicating skills and thereby, elevates their level and capacity so that they can even join in Korean cultural discourse. Chapter three examine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ng Korean culture. I searched the previous methods that have been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their outcome, I analyzed it into different phases to see how it has changed from individuality to unity. I also suggested several methodological system such as analyzing cultural vocabulary, screen teaching, flied trip, and etc. Chapter four explores cultural education by using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I chose Dangoon Myth and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according to the universality and Korean uniqueness so that the foreign learners can easi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archetypes of Korean culture, values, and understandings. About proverbs, I compared Korean, Chinese, Japanese, and English spoken countries` similar proverbs and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contrasts of the following countries. Chapter five explores the problem of educating Korean culture by using traditional literature and its future development. From the previous experiences,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ystemized into different levels, research the adequate cultural texts according to the different level, and try to develop new teaching materials by the help of the educationa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