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가치 천연물 산업 및 기능성 양잠산업의 소재로서 경쟁력이 있는 뽕나무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국내·외에서 수집하여 보존 중인 뽕나무로부터 뽕잎을 채취하여 항산화능을 비교, 검색하는 동시에 실생활에 이용되고 있는 다류와 음용수준에서의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외에서 수집되어 유리온실에서 보존 중인 뽕나무 유전자원 중 공시된 34계통의 평균 항산화능 값은 892.30nmol (ascorbic acid equivaierlts)로서 국내 장려뽕 및 야생뽕에 비해 상당히 낮았다. 그러나 우즈베키스탄에서 수집한 ``BA 2``, 일본 도입종 ``흑상`` 및 강원도 양양에서 채취한 ``수산항 2`` 는 각각 2,149.78 nmol, l,390.35 nmol, 1307.67nm이로써 항산화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 뽕잎을 음건하여 제조한 뽕앞차의 항산화능은 l,053.72 nmol이었고, 3회 덖음 처리한 뽕잎차의 항산화능은 796.92nmol이었다. 한편 실생활에서 일반인에게 널리 음용되고 있는 다류 중 커피믹스의 항산화능은 2,531.01 nmol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현미녹차의 항산화능은 l,867.42 nmol이으로 뽕잎차보다 항산화능이 높은 반면 둥글레차와 레몬홍차의 경우 각각 292.71 nmol, 188.91nmol로 항산화능이 낮았다. 3. 뽕잎에 300배, 500배의 물을 넣고 끓여 응용 수준으로 희석한 뽕잎물의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각각 919.32 nmol, 891.96 nmol의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뽕잎을 음용수로 이용한다면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importance of genetic resources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for economy and the health and well-being of societies in general is recognized all over the world. Mulberry genetic resources contain many natural components and are considerable resource for functional sericulture. We carried out antioxidative capacity analysis of mulberry leaves that were collected from Korea and some of foreign countries and preserved in the greenhouse. The mean antioxidant capacity of 34 accessions was 892.30 nmol (ascorbic acid equivalent). Also we evaluated fruity characteristics and selected 4 accessions as breeding resources for the production of mulberry frui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 on antioxidative capacity, five kinds of tea (coffee mix, green tea added brown rice, mulberry leaf tea, Polygonatum odoratum tea and black tea added lem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ir`s antioxidative capacity were 2,531.01 nmol, 1,867.42 nmol, 1,053.72 nmol, 292.71 nmol and 188.91 nmol,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drinking water soaked with mulberry leaf showed 891.96 nm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