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후보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강의평가제도 개선방안
Improving Course Evaluation System of Engineering Education
김학일 ( Hak Il Kim ) , 김성숙 ( Sung Sook Kim ) , 권오양 ( Oh Yang Kwon ) , 이천 ( Cheon Lee ) , 노경호 ( Kyung Ho Row )
UCI I410-ECN-0102-2009-530-00859942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대학의 강의평가는 수업효과성에 대한 진단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교수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며 학생이 수강 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활용범위가 확대될수록 강의평가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강의평가 제도 자체에 대한 측정학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의 강의평가 결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강의평가제도의 순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결과에 대한 문항반응 유형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국내 대학교 이공계 개설강의 중 471개 과목의 385명 교수에 대한 총 49,127 명 학생의 강의평가 결과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강의평가의 유형별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전공별 또는 수업유형별로 평가문항 군에서 문항을 선택하도록 개선할 것을 제안하고, 둘째, 평가결과점수 상하위 10% 해당하는 강의의 특성을 분석하여 결과활용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An evaluation system of teaching is one of authentic assessment tool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ultivate the class evaluation system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class evaluation.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idity evidence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class evalua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acquired from 49,127 student`s evaluation responses of 471 courses offered in colleges of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t a university in Korea. The reliabilities are quite good for every construct by producing an index value from 0.92 to 0.98. The results provides a guideline for an appropriate measurement model to report the information, to clarify quality and appropriateness of instrument items, to make recommendations for which items should be left or merged in the revised instrument. A special suggestion for improving student`s evaluation of each course is to prepare a well-designed instruction for students explaining why and how to evaluate the course in order to produce reliable and valid resul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