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경험연구 : 기혼자의 자기해석 통합유형과 결혼안정: 결혼만족의 매개효과
Types of Self-Construal Integration and Marital Stability: The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as a Mediator
현경자 ( Kyoung Ja Hyun )
UCI I410-ECN-0102-2009-180-00915301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는 기혼자의 자기해석 통합유형과 결혼만족 및 결혼안정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자기 자신의 독립성과 상호의존성을 뚜렷이 인식하고 실천하는 기혼자들이 결혼생활에서 만족도가 높으며, 그로 인해 결혼생활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이라는 결혼만족 매개가설을 검증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만 25세 이상 75세 미만의 기혼자 489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예측대로, 자기해석의 독립성과 상호의존성이 모두 높은 유형이 자기해석 미분화유형과 독립적 자기해석이 우세한 유형보다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을 높게 보고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관련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후 자기해석 통합유형과 결혼안정의 관계 및 결혼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모두 높은 유형이 독립적 자기해석이 우세한 유형과 자기해석 미분화 유형보다 결혼을 안정적으로 지각하였고 그러한 효과는 결혼만족을 투입했을 때 거의 대부분 사라짐을 보여, 자기해석 통합유형 결혼안정에 미치는 효과가 결혼만족에 의해 매개되리라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arital satisfaction mediates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self-construal integration on marital stability. It hypothesized that married people with both high independent and hig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would experienc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at, in turn, contributes to marital stability.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489 married people (aged 25-75) residing in Seoul participated. As expected, those who held both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truals highly showed both higher marital satisfaction and higher marital stability than those with high independent and low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and those with both low independent and low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Moreover,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health, and perceived financial difficul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effects of these different types of self-construal integration on marital stability were almost completely mediated by marital satisfaction. The data fully supported the hypothesis, and suggest that holding both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highly would contribute to marital outcome in a positive manne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