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1
18.97.14.81
close menu
Candidate SCOPUS
체표각부위의 (體表) 냉점분포 (冷點分布) 밀도 및 냉감각에 관한 연구
Transactions : Cold Sensations by Examining Distribution of Cold spots on the Human Skin
이영숙 ( Young Suk Lee )
UCI I410-ECN-0102-2008-590-000505370

着衣行動을 일으키는 前段階의 感覺으로서 局所의 冷感覺과 體表 各 部位에 있어서의 冷點分布에 對하여 測定을 하였다. 被驗者는, 冷點分布 測定에 韓國人 女子 大學生 30名, 冷感覺 測定에는 韓國人과 日本人 女子 大學生 8名을 對象으로 하였으며, 環境條件은 室溫 29℃±1℃, 相對濕度 55%± 5%의, 人工氣候室로 하였다. 冷刺激으로서는 0℃의 冷覺이 使用되었으며, 測定部位는 冷點分布 測定의 경우 體表 20部位, 冷感覺 測定의 경우 體表 13部位로 하였고 測定結果는 다음과 같다. (1) 體表面의 冷點分布 密度는 部位에 따라서 다르며, 體幹部와 頭部는 冷點分布 密度가 높고 末端部애 갈수록 그 分布가 낮아졌다. 特히 가장 敏感한 部位는 腹部였다. 즉 體幹部와 頭部는 中核溫을 一定하게 保持하므로서 中核部 體內溫의 變化를 防御하기 위한 溫度 受容 部位로서의 役割을 하고 있으며, 末梢部는 冷點分布가 낮아서 氣溫에 따라 體表溫(外穀溫)을 廣範圍하게 變化시키는 四肢部의 溫度情報入力의 役割을 담당하고 있다고 하겠다. (2) 各 部位애 있어서의 冷感覺 順位는 日本人과 韓國人 被驗者間에 高度의 相關(r=0.93)이 보여져, 兩 被驗者群間에 差異는 볼 수 없었다. (3) 冷點分布 密度가 높은 部位인 腹部는 冷感覺도 가장 敏感하였으며, 冷點分布 密度가 낮은 下腿部는 冷感覺 感受性도 낮게 나타났다. (4) 발바닥과 손바닥은 冷感覺을 敏感하게 느끼는 部位임에도 불구하고 冷點分布 密度가 낮게나타났으며, 이는 特殊性이 있는 部位로서 注目 되어지는 結果라고 하겠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