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다이모니아 개념을 근거로 하여 스포츠에서의 행복을 논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의 필요조건으로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외적인 조건들이 필요하다. 둘째, 기능의 탁월성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덕을 실천하는 활동이어야 한다.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다이모니아의 필요조건은 다음과 같이 스포츠에서의 행복에 적용할 수 있다. 첫째, 좋은 시설, 덕스러운 지도자, 선의의 경쟁자 등의 외적인 조건들이 필요하다. 둘째, 참가자의 기술적 숙련이 필요하다. 셋째, 경기에서 우승하는 것보다 참가 그 자체에 더 큰 의의를 둔다. 에우다이모니아 개념을 통해서 살펴본 스포츠에서의 행복의 필요조건은 외적인 조건들, 참가자의 기술적 숙련,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것이다. 즉 외적인 조건들과 기술적 숙련을 갖추고 우승보다 참가 그 자체에 의미를 두어 스포츠에 참가하는 것은 덕을 실천하는 활동으로써 이는 곧 스포츠에서의 행복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In this research, I have disputed about the happiness in sport based on the concept of the Aristotle`s Eudaimonia. Aristotle had presented three terms as a necessary conditions of Eudaimonia in 『Nicomachean Ethics』. First, it needs the external conditions. Second, it must have a functional excellence. The last, it must be the activity to practice a virtue. I can apply these necessary conditions of the Aristotle`s Eudaimonia to the happiness in sport as followings. First, it needs an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good equipment, virtuous leader and competitor in good faith. Second, it needs a technical skill of the participant. The last,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participate itself than to win the victory in game. The necessary conditions of the happiness in sport which look around through the concept of the Eudaimonia are the external conditions, the technical skill of the participant, and attaching importance to a process than a result. Namely, Having the external conditions and technical skill, and attaching significance to the participation itself than the championship, To participate in sport is that activity practice a virtue, That is to say, it can be said that embodies the happiness in s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