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현대 사회심리학에서 전개된 문화비교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서구와는 다른 동아시아인의 심성과 행동의 집단주의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 사상적 연원을 동아시아 유학 사상에서 찾아보려 하였다. 개인중심적 인간관과 독립적 자기관을 가지고 있는 서구 개인주의 사회와는 달리, 동아시아 집단주의 사회에서는 관계중심적 인간관과 상호의존적 자기관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주의의 초점, 통제 대상, 시·공간적 변이가능성의 차원에서 독립성·자율성, 자기 주장, 안정성을 강조하는 개인주의 사회와는 달리, 집단주의 사회에서는 연계성·조화성, 자기 억제, 가변성을 강조하게 되고, 그에 따른 인지·정서·동기의 제반 심성과 행동의 측면에서 개인주의 사회와는 다른 특징을 보이게 된다. 동아시아 집단주의 사회의 이러한 특징의 배경에는 유학 사상이 놓여 있다. 즉 사회적 관계체, 능동적 주체자, 무한한 가능체로 인간을 파악하여, 자기 완성뿐만 아니라 타인에의 관심과 배려 및 사회적 책무의 자임과 완수에서 이상적 인간형(군자·성인)의 특징을 구하는 유학 사상의 입장에서 집단주의의 제반 특징이 도출된다. 또한 유학의 군자론·성인론, 사단칠정론 및 인심도심설에서는 동아시아 집단주의 사회의 전형적인 사회인지, 정서 및 동기의 특징과 일치되는 논점들이 도출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동아시아 집단주의의 사상적 연원은 바로 유학의 전통에서 찾을 수 있음이 분명한 것이다.
Compared with the individualistic culture of Western countries (e.g. America, Canada, Australia, Britain, France, Germany, and Netherlands etc.), East Asian countries (e.g. Korea, Japan, China, Taiwan, Hong Kong, and Singapore etc.) have the collectivistic culture. People in these two cultures have different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tendencies. In individualistic culture, they place high values on the independence and autonomy, frank expression of private feelings and needs, and stable consistency between personal dispositions and behaviors. On the other hand, in collectivistic culture they strive to achieve interdependence and harmony with others, to control the private feelings and needs, and to change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eir situations and relations with others. On the background of these differences, there lie different views of human being in general and the self-construal. That is, those living in the individualistic culture have individual-centered view of human being and independent (and separate) self-construal; in contrast with this, those in the collectivistic culture have relation-centered view of human being and interdependent (and holistic) self-construal.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d to explicate the origins of these cultural differences in the traditional systems of thought in the Western and East Asian societies, and their theories of ideal person derived from these systems. From thes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origin of Western individualism lies in the ideocentric liberalism, and that of East Asian collectivism lies in the strong tradition of Confuci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