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이익집단의 정책활동 증대가 장기적으로는 정책과정의 민주화와 정책의 합리성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하에 현재 한국 이익집단이 정책과정상 얼마 만큼의 영향력을 정책과 정의 어느 단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행사하는지의 실상과 앞으로의 변화 방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이익집단과 행정기관간의 상호관계에 조사의 초점을 맞추었으며 중앙부처 공무원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이익집단과 행정기관의 관계는 종래의 수직적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로 점차 이동하는 것으로, 이익집단의 정책과정상의 영향력은 근래들어 증대되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이익집단의 정책과정에의 참여방식은 기존의 권력수준의 직접적 접근방식이 아직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장래에는 보다 다양해 질 것으로 각각 파악되었다. 이는 모두가 비민주적 정치체제로부터 민주적 정치체제로 이동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전환기적 특성을 반영하는 현상으로서, 한국 이익집단이 장차 한국정책과정에 주요 변수가 될 것임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