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범죄발생이 사회불안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Crime Effect on Societal Anxiety
김범준 ( Beom Jun Kim )
UCI I410-ECN-0102-2009-180-00026341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범죄발생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개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286명(남자 160명, 여자 126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범죄 심각성, 지각된 범죄 발생빈도, 지각된 사회불안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 세 변인들에 대한 시대적 변화를 추정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비교적 범죄의 발생이 많다고 지각 했으며, 범죄가 약간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각하였다. 그리고 사회가 불안하다고 보고 있었다. 또한 과거에 비해 현재 그리고 미래를 거치는 동안 범죄 발생이 증가하고 범죄가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또한 사회불안 역시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세 변수의 변화패턴이 매우 유사하였다. 범죄 심각성과 범죄 발생빈도 추정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범죄발생빈도와 범죄심각성 추정이 사회불안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259명(남자 141명, 여자 118명)을 대상으로 7개의 범죄유형에 해당하는 25개 범죄의 발생빈도를 추정하도록 하고 사회불안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7개 범죄 유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강력범죄만이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강력범죄 중 방화만이 사회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ime on societal anxiety. For this purpose,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86 students(male 160, female 126) regarding perceived seriousness of crime, estimation of crime occurrence, societal anxiety, and estimation of change in these 3 variables every 3 years from 1993 to 2011. The means of the 3 variables were higher than the midpoint of the scale. And the means of all the 3 variables gradually increased from 1993 to 2011 and the change patterns were very similar. Furthermore, the estimation of crime occurrence and perceived seriousness of crim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ocietal anxiety. Study 2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frequency estimation of the criminal acts on the societal anxiety. The data from 259 subjects(male 141, female 118) were analysed. The occurrence of frequency of 7 types of crimes including 25 criminal acts were estimated and societal anxiety was measured. The results of study 2 showed that only the major crime was significant a predictor of societal anxiety, and among the major crimes, ars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dependent variable.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studies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