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동기상태이론의 입장에서 Diener 등의 주관적 웰빙의 측정에 삶의 만족뿐만 아니라 삶의 기대가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삶의 기대는 Diener 등의 삶의 만족척도를 변형하여 새로 구성 하였으며, 삶의 기대가 기존의 주관적 웰빙을 구성하는 요소들인 삶의 만족, 긍정정서, 부정정서 등과 어떤 상관을 갖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삶의 기대와 대표적인 스트레스반응인 우울, 불안, 분노 등과의 상관도 살펴보았으며, 주관적 웰빙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자존감과의 상관도 알아보았다. 아울러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주관적 웰빙의 총체적인 인지적 평가를 반영하는 Lyubomirsky와 Lepper(1999)의 주관적 행복 척도(Subjective Happiness Scale, SHS)와 앞의 제변인들과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는 모두 131명의 남녀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삶의 기대는 삶의 만족, 긍정정서, 자존감, 및 주관적 행복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부정정서, 우울, 불안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특히 삶의 기대는 삶의 만족의 수준에 따라 여러 변인들과의 상관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삶의 만족이 높은 집단에서는 삶의 기대가 부정정서, 우울, 불안, 분노 등과 전혀 상관이 없고 자존감과 주관적 행복과만 정적 상관을 보였지만, 삶의 만족이 낮은 집단에서는 삶의 기대가 부정정서, 우울, 불안 등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긍정정서, 자존감 및 주관적 행복과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만족이 어느 정도 충족되고 나면 삶의 기대가 스트레스반응이나 웰빙반응과 거의 상관이 없지만, 삶의 만족이 낮을 때에는 앞으로의 삶의 만족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감소하고 웰빙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삶의 만족과 삶의 기대 수준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보기 위해 변랑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삶의 만족효과가 나타난 반면에, 삶의 기대 효과는 우울, 불안, 특성분노 부정정서 등에서는 유의하지 않고 긍정정서, 자존감 및 주관적 행복에서만 유의하였다. 즉, 삶의 기대가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특별히 스트레스 반응을 적게 경험하는 것은 아니지만, 긍정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며 자존감이 높고 주관적 행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동기상태이론의 입장에서 스트레스와 웰빙연구에서 동기충족-동기좌절뿐만 아니라 동기충족예상-동기좌절예상이 함께 연구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
From the standpoint of motivational states theory (MOST), the present resear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cluding the concept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s well as life satisfaction when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with Diener et al.`s instru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components of subjective well-being, i.e., life satisfaction, positive satisfaction and negative emotions was explored utilizing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one for assessing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which was constructed based on Diener et al`s life satisfaction scal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stress response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and self-esteem which shows high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was examined, Last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ubjective Happiness Scale(SHS; Lyubornirsky & Lepper, 1999) and the above variables were calculated One hundred and thirty on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s,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negatively con-elated with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d anxiety. Especi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other variables depended upo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t is, in a group with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howed no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while i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 group with low level of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howed negative con-elation with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d anxiety, and positive con-elation with positive emotions,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follows: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bears little relation with stress/well-being responses when one is satisfied with life to a certain degree but when not satisfied,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one has, the less stress responses and more well-being responses one shows. In addition, there were main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all the variables whil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exerted main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that one with high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does not experience less stress, bet does experience mare positive emotions and enjoys higher self-esteem and more subjective well-being than one with low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In discussion, it was emphasized that not only motivation fulfillment-motivation frustration but also motivation fulfillment expectancy-motivation frustration expectancy should be dealt with when we study stress or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