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를 대상으로 부적응적 정서조절에 관여하는 4가지 심리적 요인, 즉 강한 정서 경험과 반응, 정서조절기술의 결여, 자기 파괴적인 행동, 정서적 회피를 살펴보고 각 요인간의 관계를 통해 부적응적 정서조절 과정에 대해서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대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 회피성 성격장애 척도, 수용행동질문지, 사고억제 질문지, 정서강도 척도, 자기능력변화 척도를 실시하고, 경계선-회피성 집단, 경계선 집단, 회피성 집단, 통제 집단을 선발하여 집단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계선-회피성 집단과 경계선 집단이 회피성 집단이나 통제집단보다 더 강한 정서경험을 하고 정서조절기술이 더 결여되어 있고 자기파괴적 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정서적 회피 경향은 경계선-회피성 집단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경계선 집단과 회피성 집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경계선 성격장애 성향자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의 결과인 자기 파괴적 행동과 정서조절취약성인 강한 정서 경험 및 정서조절기술의 결여 간의 관계에 대한 정서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강한 정서경험 및 정서조절기술의 결여와 자기 파괴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회피의 완전매개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조절 취약성이 정서적 회피를 통해서만 자기 파괴적 행동으로 이어짐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motion dysregul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BPD tendency. Fifty-nine borderline-avoidant, thirty-five borderline, twenty-five avoidant, forty-three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out of 610 college students and were assessed on intensity of negative affect, emotion regulation skill deficit, self-mutilative behavior and emotional avoidance.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BPD features had higher affective intensity, higher levels of emotion regulation skill deficit and greater tendency toward self-mutilative behaviors than other groups. And borderline-avoidant group had greater tendency toward emotional avoidance than other groups. In addition,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e equational modeling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ulnerability factors (intensity of negative emotion, emotion regulation skill deficit) and the self-muti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ulnerability factors affects self-mutilation only through emotional avoid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result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