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자기애 성향과 자존감 수준에 따라 분노사고, 신념, 분노경험/표현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척도, 자기애 성격 척도, 수정판 일반적 신념 및 태도 척도, 일차적/이차적 분노사고 척도, 상태-특성분노표현 척도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자기애 성향은 높을수록, 자존감은 낮을수록 타인비난/보복과 무력감 사고, 비합리적 신념을 더 많이 보였으며, 분노경험과 분노표출수준도 더 높았다. 2) 낮은 자존감-높은 자기애 집단이 높은 자존감-낮은 자기애 집단보다 타인비난/보복과 무력감 사고, 비합리적 신념을 더 많이 보였으며, 분노경험, 분노표출/억제 수준도 더 높았다. 3) 낮은 자존감-낮은 자기애 집단은 높은 자존감-높은 자기애 집단보다 무력감 사고, 분노억제에서만 더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다른 변인에서는 두 집단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기애 성향과 자존감 수준에 따라 분노사고와 비합리적 신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분노경험과 표현 양상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anger thought, belief and expression. A total of 403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Primary/Secondary Anger Thought Scal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elf-Esteem Scal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nd 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 narcissism correlated positively with derogation of others/revenge, helpless thought, irrational belief, trait anger, and anger-out. Second, the high narcissism/low self-esteem group was higher than the low narcissism/high self-esteem group in derogation of others/revenge and helplessness thought, irrational belief, trait anger, anger-out, and anger-in. Third, the low narcissism/low self-esteem group was lower that the high narcissism/high self-esteem group in helplessness thought and anger-in. The research and counseling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