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격려-낙담 척도의 검사문항을 제작하고 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Adler 이론을 근거해서 예비문항을 수집하고 문항분석을 거쳐 60개의 검사문항을 확정하였다. 또한 자기격려, 자기낙담 척도에서 각각 인지, 행동, 정서의 세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검사의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자기격려 척도는 자기효능감과, 자기낙담 척도는 스트레스 척도와 정적 상관을 보여 본 검사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우울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자기격려-낙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본 검사도구의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격려-낙담 척도는 대학생들의 자기격려와 낙담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우리나라 대학생들 대상으로 상담 장면에 활용할 수 있는 신뢰로운 검사도구의 개발에 있다. 추후 본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교육 및 상담성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lf Encouragement- Discouragement Inventory for college students. The inventory was based on Adlerian theory and consists of 60 items. The factor analysis indicated three factors: Cognition, Behavior, and Emotion. The alpha-coefficient, test-retest reliability, and item-total correlations for each factor were high.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inventory was supported by correlations between the Self Encouragement Inventory and a self efficacy inventory and between the Self Discouragement Inventory and a stress test.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inventory was suppor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pressed and control students in encouragement and discouragement scor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lf Encouragement-Discouragement Inventory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We discuss the counseling applications of this inventory with Korean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