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대형 SI업체의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도입과 활용 사례를 소개한다. 1990년대에 소프트웨어의 개발 패러다임이 객체지향 방법론(Object-Oriented Programming)으로 옮겨갔으며, UML은 객체지향 분석과 설계를 위한 모델링 언어로 전 세계적인 표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 소프트웨어업체가 UML을 활용한다는 사실은 그 업체가 소프트웨어 모델링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모델의 기본 목적은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추상적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게 표현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모델은 사용자 요구의 정확한 반영, 개발팀원 간의 업무분담, 개발비의 추정, 유지보수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인터뷰와 설문지를 병행하여 진행되었고, 연구의 결과는 국내 소프트웨어업계에서의 UML 활용수준의 벤치마크로 쓰일 수 있으며, 새로이 UML을 활용코자 하는 소프트웨어업체의 UML 도입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by a large SI company in Korea. In 1990s, the software development paradigm shifted to Object-Oriented Programming and UML has been accepted as the international de facto standard language for the Object-Oriented Analysis and Design. When a software organization uses UML, it means that the organization conducts software modeling. The main purpose of software modeling is to help understand more easily complex software in abstract level. Software modeling can be utilized to capture the user`s requirements accurately, to divide task among developers, to estimate development expenses, and to maintain software more effectively.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nd its results can be used as benchmark for the UML utilization level in Korea. Also it can help other software companies develop their strategies for introducing and utilizing U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