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경제를 75개의 산업으로 분류한 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한국경제의 산업구조를 분석하고 경쟁력이 있고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을 찾아내 본다. 산업구조의 분석에서 노동과 자본등의 제반 비용상승이 생산활동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나를 보았다. 약 10년 동안에 우리의 산업구조는 노동과 자본에 대한 의존도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여건이 더욱 악화되었다고 가정할 때 약 20개의 산업이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의 산업이 제조업분야였다. 제조업은 산업의 전후방파급효과가 높기 때문에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위한 주요 산업정책분야이다. 경쟁력 있는 산업 중에서 다수의 산업이 제조업인 점을 볼 때 우리경제의 장래는 밝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