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수출입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의 하나로 엔화환율을 명시적으로 도입하는 동시에 그 동안 소홀히 취급되었던 수입단가함수를 모형화하여 우리나라의 지역별 수출입모형을 설정하였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시계열의 불안정에 따른 허구적 회귀현상을 배제하기 위하여 Engle and Granger의 오차수정모형을 도입하여 우리나라 지역별 수출입함수를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공적분검정결과에 따르면 수입단가함수는 수출입물량 및 수출단가함수만큼 공적분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수입이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수출입모형의 설정시 수입단가함수를 명시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 수출입함수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엔화절상은 일본 및 제3국시장에서 일본재화에 비하여 우리나라 재화의 가격경쟁력을 강화시켜 우리나라의 수출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엔화절상은 대일수입단가의 상승을 가져옴으로써 수입선을 일본으로부터 미국이나 EU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화절상에도 불구하고 대일수입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엔화절상이 우리나라 수출의 증가를 초래하는 과정에서 이에 소요되는 원자재의 대일수입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