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자산재평가제도는 기업의 고정자산을 시가에 의하여 재평가함으로써 기업자본의 정확을 기함과 더불어 추가적인 감가상각을 통한 자본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입법취지에서 제정된 재평가법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제도적인 측면과 기업회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재평가동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평가동기변수로는 법인세부담률, 부채비율, 사채비중, 배당자원, 재평가기간, 기업규모를 사용하여 재평가기업과 무평가기업간에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수에 걸쳐서 재평가 기업과 무평가기업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단계로 이들 변수를 Logit 모형을 사용하여 다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법인세부담률이 높고, 부채비율이 높고, 사채비중이 높고, 직전재평가와의 기간이 길며, 기업규모가 큰 기업일 수록 재평가를 실시하는 동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열악한 재무구조를 개선시켜 추가적인 자금조달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재평가동기가 큰 것으로 나타나 분석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기업규모효과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