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태반조기박리의 임상적 고찰
Original Reports : Clinical Analysis of Placental Abruption
서민정 ( Min Jung Suh ) , 김옥경 ( Ok Kyoung Kim ) , 김두만 ( Du Man Kim ) , 유희정 ( Hee Jeong Yu ) , 박철훈 ( Cheol Hoon Park ) , 노덕영 ( Duck Yeong Ro ) , 김태응 ( Tae Eung Kim )
PERINATOLOGY 17권 1호 77-83(7pages)
UCI I410-ECN-0102-2008-510-002838987

목적 : 태반조기박리는 응급처치를 요하는 산과적 질환이나 현재로써는 이 질환을 임신 중 예견할 수 있는 진단적 방법이 없으므로, 본 연구는 환자의 기록을 임상적으로 고찰하고 기존 연구 문헌과 비교하여 산모와 태아의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 1991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 시행된 20,483예의 분만 중 태반조기박리로 진단된 80예의 임상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 13년 동안 태반조기박리의 발생 빈도는 0.4%였고, 97.5%가 임신 28주 이후에 발생하였다. 원인적 요소를 알 수 없는 경우가 67.5%로 나타났고, 임신성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가 22.5%의 빈도를 보였다. 임상 증상은 자궁내 태아 사망 10예를 포함한 질출혈이 46.3%, 하복부 통증 33.75 %, 태아 긴박증 10%, 조기 진통 5%를 보였다. 과반수의 산모에서 분만 전에 태반조기박리의 진단이 가능하였고, 제왕절개율은 93.8%였다. 태반 박리 정도에 따른 태아 생존율은 경도는 94.1%, 중등도는 84.6%였으나, 중증의 경우는 14.3%로 낮았다. 아울러 태반 박리 정도에 따른 태아의 1분/5분 Apgar score는 경도, 중등도, 중증에서 각각 5.9±2.5점/7.5±2.2점, 5.5±2.7점/7±2.8점 및 1.3±2.4점/1.3±3.0점으로 경도와 중등도의 태반조기박리 때보다 중증의 태반조기박리 때 1분/5분 Apgar score가 각각 유의하게 낮았다(p<0.01). 본 연구에서 산모가 사망한 예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태반조기박리의 원인적 요소를 알 수 없는 경우가 2/3로 임신성 고혈압의 원인적 요소나 임상증상의 파악이 치료의 중요한 지침을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태반조기박리로 인한 태반기능부전은 태아에게 중대한 위험요소로 나타났으며, 이에 태반조기박리로 의심이 되는 경우는 박리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즉각적인 분만을 시도함과 아울러 필요한 경우 미숙아 분만에 대한 관리를 준비는 것이 태아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Objective : Placental abruption is one of the obstetric hemorrhage diseases that needs emergent treatment. But there is no predictable tool for placental abruption at present, we clinically analyzed its incidence, etiological factors, signs and symptom and neonatal outcome for reducing complications of this disease. Methods : The data presented here were based on 80 cases of placental abruption among 20,483 deliveries during 13 years of period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2003. Results : The incidence of placental abruption was 0.4%. Most of cases (97.5%) occurred over 28 weeks of gestational age. The incidence of unknown etiological factor was 67.5% and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was related in 22.5% of cases. The most common signs and symptom was vaginal bleeding (46.3%). Lower abdominal pain (33.8%), fetal distress (10%), premature labor (5%) were also noted. The half of the patients was diagnosed before delivery and the mode of delivery was cesarean section in 93.8%. The survival rate of newborns in severe degree group (14.3%) of placental abruption was lower than that of mild degree group (94.1%) or moderate degree group (84.6%). Additionally, Apgar scores at 1min and 5min of newborns in severe degree group (1.3±2.4/1.3±3.0)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ild degree group (5.9±2.5/7.5±2.2) or moderate degree group (5.5±2.7/7±2.8) (p<0.01). There was no maternal death in our study. Conclusion : Because the etiological factor of this disease was uncertain in two thirds of cases, comprehension of etiological factor such as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and signs and symptom is emphasized. Bleeding and uteroplacental insufficiency caused by placental abruption affect fetal jeopardy in severe cases. Accurate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including management of premature baby should be conducted in suspicious case of placental abruption for prevention of progression of this diseas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