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AFLP 분석을 통한 국내 떫은감의 유연관계 분석
Genetic Relationships of Korean Astringent Persimmon Varieties Using AFLP Analysis
조두현 ( Doo Hyun Cho ) , 전익조 ( Ik Jo Chun ) , 권순태 ( Soon Tae Kwon ) , 송예수 ( Ye Su Song ) , 추연대 ( Yoen Dae Chou )
UCI I410-ECN-0102-2008-520-00277836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떫은감은 오래전부터 한국에서 재배되어오던 것으로 장기간의 재배를 통해 한국의 중부와 남부에 걸쳐 넓게 분포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FLP기법을 이용하여 국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17개품종과 중국 및 일본의 5개품종간의 유전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추출된 DNA는 8개의 EcoRI Primer와 MseI Primer조합에서 모두 989개의 증폭밴드를 형성하였으며, 그중 36.1%인 357개의 다형성 밴드를 나타났다. 유전적 유연관계에 있어 ``고종시``와 ``학동시``는 매우 높은 유연관계를 나타냈으며, 일본에서 수집한 ``갑주백목``과 함양의 ``두리감`` 또한 매우 높은 유전적 유연관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중국의 ``대마반``과 국내에서 수집한 종간에는 낮은 유연관계를 나타내었다.

Astringent type persimmon varieties have been cultivated from ancient times in Korea. In the long cultivation of the persimmon, various local varieties have been developed and cultivated throughout from the central to the Southern area.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eal genetic relationships of local 22 persimmon varieties, including one Chinese cultivar ``Damopan`` and four Japanese cultivar ``Koshuhyakume``, ``Hirataneanshi``, ``Saijo``, and ``Yokono``, using AFLP technique. Total bulk DNA of the persimmon cultivars were amplified with primer combinations based on the sequence of EcoRI and MseI adapters. The eight primer combinations amplified a total of 357 polymorphic fragments. According to AFLP calculated genetic similarities, ``Godongsi`` and ``Hakdongsi`` we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In addition, ``Durigam`` and ``Yokono`` showed close genetic similarity, which were collected from Hamyang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However, Chinese persimmon ``Dampon`` and ``Wolhasi`` were poorly related with the other collected variet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