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후보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치료 후 발생한 대퇴골 간부 골절의 불유합의 원인 및 치료
Cause and Treatment of the Nonunion of Femoral Shaft Fracture after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김성수 ( Sung Soo Kim ) , 손성근 ( Sung Keun Sohn ) , 김철홍 ( Chul Hong Kim ) , 이명진 ( Myung Jin Lee ) , 왕립 ( Lih Wang )
UCI I410-ECN-0102-2008-510-002850412

목 적: 대퇴골 간부 골절에 시행한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후 발생한 불유합에 대한 원인을 임상적으로 분석하고, 그 치료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본원에서 대퇴골 간부 골절의 치료로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174예 중에서 비감염성 불유합으로 진단되고 수술적 치료 후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술 후 대퇴골 불유합의 원인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였고 불유합의 치료에 대해서는 금속정 교체술 그리고 금속정 교체 및 자가 골 이식술 두 가지 방법을 선택하였고 최종적으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두 가지 치료 방법에 따른 평균 골 유합 시기를 분석하고, 평균 골 유합 시기를 다른 불유합의 원인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40세 (16∼78)였으며, 남자가 17예, 여자가 2예였다. 수술 방법은 불유합의 원인과 형태에 따라 결정하였고, 내고정 금속정 교체술만 시행할 경우가 10예, 금속정 교체술 및 자가 골 이식을 시행한 경우가 9예였다. 전 예에서 한 번의 수술로 골 유합을 얻을 수가 있었다. 전체적인 골 유합 기간은 금속정 교체술만 시행한 경우 평균 18.5주, 금속정 교체술 및 자가 골 이식을 시행한 경우 평균 16.1 주로 자가 골 이식술을 병행한 군에서 평균 골 유합 기간이 앞당겨졌고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5). 평균 골 유합 시기에 따른 불유합의 원인 요소들과 비교한 결과 초기 개방성 골절 및 흡연군에서 유의한 유합 지연을 보였다 (p<0.05). 결 론: 대퇴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후 발생한 불유합의 양상, 골간격을기준으로 한 안정성에 따라 금속정 교체술 및 자가 골 이식술을 선택하여 전 예에서 골 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불유합을 골수강내 금속정 교체술로 치료 시 그 양상과 특히 골간격을 기준으로 골이식 추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auses and the clinical results of treatment for the nonunion of femur shaft fractures that occurred after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19 cases of aseptic nonunion of femur shaft fracture in 174 patients after interlocking IM nailing from March 1999 to February 2004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one year. First we investigated the factors causing nonunion. For operative options, two methods about exchange nailing and exchange nailing with bone graft were performed. Finally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with bone union rate by treatment methods and com pared with the nonunion factors statistically. Results: According to the causes and types of nonunion, we performed larger IM nail change in 10 cases and IM nail change with bone graft in 9 cases. Bone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Average bone union period were 18.5 weeks in exchange group and 16.1 weeks in exchange with bone graft group.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methods statistically (p<0.05). Com pared with the nonunion factors, initial open fracture and smoking groups showed late union rate statistically. Conclusion: Based on our analysis, IM nail change is a useful method for nonunion after initial IM nailing in fem oral shaft fracture, and additional bone graft that according to the radiologic pattern and stability, especially the fracture gap is also a useful option for nonunion treat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