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최근 잠김 금속판은 생역학적으로 견고한 고정력 등의 장점으로 다양한 골절의 치료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불안정성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치료 결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04년 9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 대해 잠김 금속판을 이용해 치료를 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는 4명, 여자는 12명, 평균 연령은 55.6세(22~78)였다. 임상적 결과는 Neer의 기능적 평가방법 및 Constant 점수를, 방사선학적 결과는 골유합 시기 및 경간각을 이용한 Paavolainen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모든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Neer의 기능적 평가상, 만족 이상의 결과를 보인 경우는 11예 (69%)였고, Constant 점수상 양호 이상이 12예 (75%), 방사선학적 결과가 양호인 경우는 12예 (75%)였다.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2.8주 (9~17)였다. 나사못 이완 및 나사못 자극의 합병증이 각각 1예였다. 결론: 불안정성 상완골 골절에 대해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견고한 초기 고정력으로 조기에 견관절 운동이 가능하였으며, 비교적 양호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여 불안정성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sults of internal fixation with locking plate system for the unstable proximal humer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cases of unstable proximal humerus fracture were treated using locking plate system between September 2004 and June 2005.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5.6 years (range, 22 to 78), male was four patients, female was twelve.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using Neer`s evaluation criteria and Constant socring system. We analyzed the radiological results by bony union time and Paavolainen method. All data was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According to Neer`s evaluation ciriteria, eleven cases (69%) showed excellent or satisfactory results and according to Constant scoring system, twelve cases (75%) showed excellent or good result. Twelve cases (75%) showed good results by Paavolainen method. In all cases, bony union was obtained in average 12.8 weeks after operation. There were two complications; one screw irritation and one screw loosing. Conclusion: The patients treated using locking proximal humerus plate could exercise earlier due to good initial stability. An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relatively good. The treatment of unstable proximal humerus fracture with locking plate system was considered as a goo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