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 자살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지식과 오해
High school teachers` knowledge and misconception on youth suicide
이승연 ( Seung Yeon Lee )
UCI I410-ECN-0102-2009-180-00026692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교사들이 자살 위험을 보이는 학생들을 사전에 식별하여 적절한 중재활동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90명의 남녀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청소년 자살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교사들의 지식 수준과 자살에 대한 오해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자살 위험성이 있는 학생들이 식별되었을 때, 그들이 일반적으로 취하는 중재방법들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교사들은 자살위험이 있는 학생들을 식별해 낼 수 있을 만큼 자살관련요인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았으며, 대부분이 스스로 그러한 학생들을 선별해 낼 수 있다고 믿지 않았다. 자살에 대한 오해는 우려만큼 많지 않았지만, 몇몇 오해들은 자살의 중재와 관련하여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었다. 한편, 교사들의 중재방법은 주로 교시들 개인에 의한 전략들로 이루어지며, 매우 제한적이었다. 효과적인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하여 자살관련요인과 즉각적인 중재 전략들에 초점을 둔, 교사들을 위한 자살예방 교육이 시급하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prepared Korean high school teachers are to identify suicidal students and connect them to appropriate resources. This study surveyed 390 high school teachers in terms of their level of knowledge on youth suicide and their misconception on suicid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 of actions they usually take once they identify suicidal students. Results indicated that high school teachers in Korea did not have sufficient knowledge to identify suicidal students and they did not think they are capable of identifying those students. Although their misconception on youth suicide was not as pervasive as expected, some of the misconception were still problematic in relation to suicide intervention. Furthermore, their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uicidal students were quite limited, focusing on isolated individual efforts. It is critical to develop and implement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youth suicide prevention which address suicide risk factors, warning signs, crisis response, and referral procedur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