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과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1) 자신의 삶에 대해 각각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2) 삶의 여러 영역들에 대한 만족감과 삶 전반에 대해 느끼는 만족 감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이들이 앞으로 더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떤 영역에서의 생활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지 규명해내며, 또 3) 성격요인 중 외향적 성향과 낙관주의적 태도가 삶에 대한 만족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가정노인이 시설노인보다 삶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지 않았다. 둘째, 시설노인은 생산영역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를 주로 결정하였으나, 일반가정노인은 물질, 정서, 신체영역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더 컸고 생산영역 만족도는 영향력이 미미하였다. 끝으로, 노인집단에 관계없이 성격이 낙관적인 노인 일수록, 또 외향적인 성향이 강한 노인일수록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감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이상 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residing in the community and those residing in institutions. It aimed at examining 1) the extent to which the two groups of old people we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2) the domains of life which should be reorganized to elevate overall life satisfaction for the two groups of people, and 3) the effects of extraversion and optimistic personality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residing in the communit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lives more than those in institutions. Secondly, satisfaction in the domain of produc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element comprising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for the elderly residing in institutions, whereas satisfaction in material, emotional and physical domains disproportionately affected overall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residing in the community. Finally, irrespective of the groups, the more optimistic and the more extroverted the old people were,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liv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