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ADHD증상과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717명의 아동과 부모, 그리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ADHD증상과 내재화 문제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완전매개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DHD증상과 외현화 문제간의 관계에서도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완전매개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 있어서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ADHD증상이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후 부정적인 자기개념과 낮은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로 이어짐을 시사한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or effects of the self concept and the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symptoms and the internalizing problem/externalizing problem in community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717 children, parent, and teacher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e equational modeling. The Structure equational modeling revealed that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of the self concept and the ego-resilience had superior fit indices to other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HD symptoms and the internalizing problem. In add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HD symptoms and the externalizing problem,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of the self concept and the ego-resilience had superior fit indices to other model, Gender differences in mediating effect wer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However, the moderator effect of the self concept and the ego-resilience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DHD symptoms influenced on the self concept and the ego-resilience negatively, and this influenced on the maladjustment of childre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bout these result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