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병 환자의 음성증상과 관리기능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관이 양자간의 특수한(specific) 상관을 반영하는지 아니면 음성증상과 인지기능 사이의 일반화된(generalized) 상관을 반영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 36명을 PANSS 음성증상척도를 사용하여 음성증상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양분하였다. 두 집단 간에 Executive IQ(EIQ)와 Full-scale IQ(FIQ)에서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를 각각 검증하였다. 음성증상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EIQ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그러나 두 집단 간에 FIQ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음정증상이 높은 환자들은 낮은 환자들에 비해 관리지능은 낮았지만 일반지능은 동등하였다. 이 결과는 음성증상과 관리기능 사이에 특수한 상관이 있음을 제시한다. 음정증상과 관리기능의 특수한 상관은 ``전두엽이상``이라는 공통된 병리적 요인의 반영일 수 있다. 이 가절을 검증하기 위한 향후 연구에서는 증상 측정, 신경심리적 측정, 신경영상적 측정의 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Prior studies have repor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symptoms and executive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We investigated whether the correlation is specific to executive functioning or reflect a more gener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Based on PANSS Negative Scale, 36 schizophrenic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ith high negative symptoms (High NS group; n = 18) and the other group with low negative symptoms (Low NS group; n = 18). High NS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 Executive IQ (EIQ relative to Low NS group. However, the two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gull-scale 1Q (FIQ). Thus, High NS group had a selective deficit in executive functioning relative to Low NS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symptoms and executive functioning reflects a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specific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symptoms and executive functioning may reflect a common pathological process, namely, frontal dys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