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SCIE SCOPUS
우리나라 당뇨병환자의 외래이용 지속성이 건강결과 (health outcome)와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건강보험자료 분석결과
Current Status of the Continuity of Ambulatory Diabetes Care and its Impact on Health Outcomes and Medical Cost in Korea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우리나라 당뇨병환자의 외래이용 지속성이 건강결과 (health outcome)와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건강보험자료 분석결과
김재용 ( Jai Yong Kim ) , 김혜영 ( Hye Young Kim ) , 김화영 ( Hwa Young Kim ) , 민경완 ( Kyung Wan Min ) , 박석원 ( Seok Won Park ) , 박이병 ( Ie Byung Park ) , 박정현 ( Jeong Hyun Park ) , 백세현 ( Sei Hyun Baik ) , 손현식 ( Hyun Shik Son ) , 안철우 ( Chul Woo Ahn ) , 오지영 ( Jee Young
UCI I410-ECN-0102-2009-510-00000801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연구배경: 유병률이 높고 다양한 합병증과 중증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당뇨병에서 적절한 질병관리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미 수많은 과학적 근거들이 제출되어 있다. 하지만 중장기적 건강효과나 궁극적인 비용절감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적인 근거가 부족하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하여 109만명의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2003년과 2004년의 외래이용 지속성을 측정하고 2005년에 발생한 입원, 사망, 고비용을 관찰하여 그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20~79세 사이로 당뇨병 진단 및 약제처방을 경험하였고 2004년말까지 사망하지 않은 총 1,088,564명을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간 처방일수, 외래이용 기관 수, 분기별 외래방문 지속성을 측정하였다. 성별, 연령군, 거주지역, 건강보험료수준 (소득수준의 대리지표), 5대 동반상병 (당뇨병입원, 고혈압, 심장질환, 뇌졸중, 신장질환), 최초진단년도, 입원경험, 주이용 의료기관 등을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외래방문 지속성이 2년간 유지되지 않은 환자는 2년간 유지된 환자에 비하여 2005년의 입원율이 1.29배, 사망률이 1.75배, 고비용률이 1.34배 높았다. 단일기관을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환자일수록 입원, 사망, 고비용이 발생할 확률이 더 낮았다. 연간 약물처방일수가 길수록 입원율과 사망률은 낮았으나 비용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환자가 (1) 한명의 단골의사에게 분기별 1회 이상의 주기적 방문을 하면서 (2) 연간 360일 이상 약물처방을 받는 상황을 가정하였을 때에 요인 (1)에 의해 가능한 최대 비용절감액은 절감비용은 4.166억원이었으며 요인 (2)에 의한 최대 비용지출액은 총 2,776억원으로써 순절감 가능액은 약 1,390억원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분석대상 당뇨병환자 109만명의 2005년도 건강보험 급여대상 총진료비 2조 5,180억원의 5.5%에 해당되는 금액이었다. 결론: 당뇨병환자의 지속적 외래이용은 환자의 입원과 사망을 줄이고 의료비 절감을 가져올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미국, 영국, 호주 등 주요 국가들의 예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사회적 프로그램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e continuity of care in chronic diseases, especially in diabetes, was emphasized from many studies. But large scale studies with long-term observation which confirm the impact of continuity of care on health outcomes are rare. This study tried national level 3 year observation to find differences in hospitalization, mortality and medical costs among patient groups with different utilization pattern. Methods: The 1,088,564 patients with diabetes diagnosis and diabetes drug prescription in 2002, from 20 to 79 years old, and survived until the end of 2004 were included. Annual drug prescription days, number of visited clinics and quarterly continuity of care were measured. Gender, age group, living area, health insurance premium level (as a proxy of the income level), years of first DM diagnosis, five co-morbidities (hypertension, heart disease, stroke, renal disease, admission with DM), hospitalization experience and the type of main attending clinic were adjusted. Hospitalization, mortality and high costs group (top quintile) in 2005 were predict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Patients who failed in continuity of care in 2003 and 2004 showed higher hospitalization (OR =1.29), higher mortality (OR =1.75) and they are more likely to be high costs group (OR =1.34) in 2005 than who fulfilled the continuity of care. Patients who have single attending clinic also showed lower hospitalization, lower mortality and lower cost. Completeness in diabetic drug prescription were correlated with lower hospitalization, lower mortality but with higher cost. Possible cost saving from continual care with single attending clinic was estimated at ₩417 billion ($1 = ₩943.7). Possible expenditure from complete drug prescription was ₩228 billion. So, net saving was ₩139 billion in our study population. Conclusion: Continual care and single attending clinic saves patient`s life and national costs. Fragmented primary care system in Korea should be reformed for more effective care of chronic diseases.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in Korea enables nationwide long-term observation study which overcomes the many limitations found in hospital-based studies and cross-sectional surveys. (J Kor Diabetes Assoc 30:377~387, 2006)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