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광릉 원두부 소유역에서의 우기 중 지하수 함양률 평가
Research Estimation of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during a Rainy Season at a Headwater Catchment in Gwangneung, Korea
최인혁 ( In Hyuk Choi ) , 우남칠 ( Nam Chil Woo ) , 김수진 ( Su Jin Kim ) , 문상기 ( Sang Ki Moon ) , 김준 ( Joon Kim )
UCI I410-ECN-0102-2008-520-002781089

광릉 슈퍼사이트 내 원두부 소유역에서 지하수위변동법, 이온수지법, 수문곡선분리법 등 세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률을 평가하고, 방법별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한 자료는 우기에 해당하는 2005년 6월부터 9월까지 취득하였다. 두 가지 다른 지하수위변동 법으로는 각각 25.9%, 23.6%의 지하수 함양률이 산출되었고, 염소를 이용한 이온수지법은 평균 13.4%의 함양률이, 그리고 6개의 수문곡선과 염소 이온자료를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법은 평균 14.0%의 순기저유출률이 산출되었다. 장기적으로 지하수 저장량의 변화가 없는 정류상태를 가정하는 이온수지법과 수문곡선 분리법에서 산출된 지하수 함양률이 지하수 함양으로 인해 지하수위의 상승과 저장량의 변화를 고려하는 지하수위변동법에서 산출된 지하수 함양률보다 작게 산정되었다. 따라서 수문순환의 동력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측면에서는, 지하수위변동법에 의한 지하수 함양률 평가가 다른 방법들보다 우월함을 보인다.

Groundwater recharge rates were estimated and compared in a headwater catchment at the Gwangneung Supersite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water-table fluctuation (WTF), mass balance, and hydrograph separation techniques. Data were obtained during the rainy season from June to September 2005. Two different WTF methods estimated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as 25.9% and 23.6%. The mass balance calculation of chloride ions indicated recharge rates of 13.4% on average. Baseflow separation using chloride ion as a tracer from six storm hydrographs produced a 14.0% net baseflow rate on average. Because of the implicit assumption of a long-term steady state without storage change, recharge rates calculated by mass balance and hydrograph separation were smaller than those done with WTF methods, which include the amount of increased storage due to the water-level rise. Subsequently, the WTF method is superior to others in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to comprehe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hydrologic cycl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