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Induced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Korean Rice Economy
( Jung Keun Park )
농업사연구 4권 2호 49-64(16pages)
UCI I410-ECN-0102-2008-520-002781498

이 논문의 목적은 1960년대 이래 한국 쌀 생산의 기술적 특성과 제도변화가 오늘날 개방화 시대에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보고자 한다. 한국의 쌀 생산은 그동안 빠른 경제발전으로 부존자원의 변화에 따라 토지생산성과 노동생산성 증대의 기술진보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국제 농산물 시장개방에 따라 제도변화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과거에는 시장경제의 진전으로 부존자원 변화에 따른 요소가격에 유발된 기술변화로 인하여 시장가격 이 중요한 정책변수가 되었다. 그러나 무역개방이후에는 경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농업구조변화를 위한 제도변화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자연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른 기술변화와 마찬가지로 사회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른 제도변화의 중요성이 점차 커질 것으로 보아 적정 농업연구자원의 배분은 앞으로 이러한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the Korean rice economy, the theory of induced technical change provides very substantial insight into the process of agricultural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has sought to increase the growth rates of both land and labor productivity through technical change in rice production and structural change in the economic environment and also has contributed substantial resources to put more emphasis on the readjustment of farm structural policy than on rice price policy. We can view the role of institutional change in Korean rice economy as an institutional innovation to centralize the mobilization of resources in order to meet farm production and social welfare goals. The process of technical and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Korean rice economy may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induced innovation hypothesis.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scientists and economists have made major contribution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advances in natural science knowledge on technical change and of the impact of technical change on rice economy. However, our knowledge of the contribution of institutional change to rice economy has advanced much less rapidly. And, nowadays, our knowledge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ate and direction of institutional change is even more importa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