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SCIE SCOPUS
난소 종양의 조직학적 형태와 악성도에 따른 동결절편 조직검사의 정확도
Accuracy of frozen section diagnosis for ovarian tumors according to histologic type and malignant potential난소 종양의 조직학적 형태와 악성도에 따른 동결절편 조직검사의 정확도
노재홍 ( Jae Hong No ) , 조현일 ( Hoen Il Jo ) , 고현주 ( Hyun Joo Koh ) , 한지혜 ( Ji Hye Han ) , 김재원 ( Jae Weon Kim ) , 박노현 ( Noh Hyun Park ) , 송용상 ( Yong Sang Song ) , 강순범 ( Soon Beom Kang ) , 이효표 ( Hyo Pyo Lee )
UCI I410-ECN-0102-2009-510-00003565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난소 종양의 악성도와 조직학적 형태가 동결절편 조직검사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 2001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난소 종양의 동결절편 조직검사와 최종 진단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총 1,138예 중 상피성 난소 종양이 628예(55.2%)였고 이 중 양성, 경계성, 악성 종양은 각각 380예(60.5%), 87예(13.9%), 161예(25.6%)였다. 조직학적 형태와 악성도에 따른 동결절편 조직검사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난소 종양에 대한 동결절편 조직검사의 정확도는 93.9%였다. 악성도로 분류하였을 때 양성, 경계성, 악성종양에 대한 정확도는 93%, 92%, 98%였으며 민감도는 96%, 61%, 96%로 경계성 종양이 유의하게 낮았다. 조직학적 형태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비점액성 및 점액성 종양에 대한 정확도는 95%, 85%로 점액성 종양이 유의하게 낮았다. 검사의 정확성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계성 종양 여부로 나타났다. 비상피성 난소 종양 중에서는 미성숙 기형종에 대한 민감도가 64%로 낮았다. 결론 : 동결절편 조직검사는 난소의 악성종양에서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유용한 검사이다. 그러나 경계성 종양, 점액성 종양, 그리고 미성숙 기형종의 경우 민감도가 낮고, 점액성 종양 여부보다는 경계성 종양 여부가 동결절편 조직검사 정확성에 더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was to evaluate accuracy of frozen section diagnosis for ovarian tumors according to histologic type and malignant potential. Methods: We compared the frozen section and final diagnosis of patients with ovarian tumors from April 2001 to April 2006. Of these 1138 cases, 628 cases (55.2%) were epithelial ovarian tumors.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t epithelial tumors were 380 (60.5%), 87 (13.9%), and 161 (25.6%) cases. The accuracy of frozen section diagnosis was analyzed according to histologic type and malignancy potential. Results: The overall accuracy of frozen section diagnosis was 93.9%. The accuracy for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t tumors were 93%, 92%, and 98%, respectively. The accuracy of frozen section diagnosis was significantly low in mucinous tumors and borderline malignant tumors. However the borderline malignancy was the only independent factor associated with the inaccuracy of frozen section diagnosis (OR: 12.2, 95% CI: 6.5-23.1). The sensitivity for immature teratoma was as low as 63.6%. Conclusion: Our data shows that the accuracy is low in mucinous tumors, borderline tumors, and immature teratomas and the borderline malignancy is independent factor associated with inaccuracy of frozen section diagnosi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