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KCI 등재 SCIE SCOPUS
걸음측정계 (보수계)로 알아본 제2형 당뇨병환자의 운동량 분석
Pedometer-Determined Physical Activity in Type 2 Diabetes in Korea걸음측정계 (보수계)로 알아본 제2형 당뇨병환자의 운동량 분석
장상아 ( Sang Ah Chang ) , 이정민 ( Jung Min Lee ) , 손태서 ( Tae Seo Sohn ) , 손현식 ( Hyun Shik Son ) , 박성우 ( Sung Woo Park ) , 백세현 ( Sei Hyun Baik ) , 유재명 ( Jae Myung Yu ) , 성연아 ( Yeon Ah Sung ) , 안철우 ( Chul Woo Ahn ) , 민경완 ( Kyung Wan Min ) , 한경아 ( Kyung Ah Han )
UCI I410-ECN-0102-2009-510-00004151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걸음 측정계로 객관적인 신체 활동량을 측정하여, 적절한 에너지 소비를 위한 걷기 운동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2월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6개 대학병원에 방문한 18세 이상의 외래 환자들을 대상으로 횡단면적 연구를 하였다. 환자들의 신체 계측을 한 후 걸음 측정계와 칼로리 측정계를 주어 일주일간 아침 기상부터 자기 전까지 착용하도록 한 후 반납하도록 하였다. 240명을 대상으로 내원 3개월 이내의 생화학적 검사 및 합병증, 치료방법들을 의무기록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결과: 걸음 측정계로 측정한 하루 평균 걸음 수는 8,500보,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320 Cal, 일주일 평균 걸음 수는 59,000보,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2,200 Cal이었다. 평균 걸음 수는 성별,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비만이 비비만 환자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 < 0.001).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남자에서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P < 0.05), 비만 환자에서 비비만 환자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평균 걸음 수는 체질량지수 (r = -0.325, P < 0.001), 허리둘레 (r = -0.287, P < 0.001), 중성지방 (r = -0.164, P = 0.018)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BUN (r = 0.165, P = 0.019),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r = 0.164, P = 0.018)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체질량지수 (r = -0.14, P = 0.032), 총 콜레스테롤 (r = -0.139, P = 0.04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BUN (r = 0.187, P = 0.008),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r = 0.145, P = 0.037)과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 평균걸음 수와 에너지 소비량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0.824). 결론: 걸음 측정계로 제2형 당뇨병환자의 신체 활동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 평균 걸음 수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걷기 운동 시 권장되는 에너지 소비를 위한 걸음 수를 추정하여 줄 수 있겠다.

Background: Walking is a popular, convenient and relatively safe form of exercise. However, there is few objective data for walking exerci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edometer-determined physical activity defined as steps/day in type 2 diabetes mellitus. Therefore, it could be the basic data for programming walking exercise in diabetes mellitus. Methods: Participants with type 2 diabetes who visited in 6 university hospitals on February, 2006 in Seoul and Kyung-gi area were recruite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heir ambulatory activity with the given pedometer and calorimeter for 1 week. Total 240 (Male 122, Female 118) subjects who walked above 1000 steps/day were analyzed. We also collected their biochemical data from the medical records. Results: Participants took 8532 ± 4130 steps for day (step/day) and energy expenditure were 320 ± 161 Cal/day. Steps/da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but energy expenditure was higher in male than female (P < 0.05). Steps/day was significantly lower in obese patients than non-obese patients (P < 0.001). BMI (r = -0.325, P < 0.001), waist circumference (r = -0.287, P < 0.001), triglyceride (r = 0.164, P < 0.018) showed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with steps/day, but BUN (r = 0.165, P = 0.019) and HDL-cholesterol (r = 0.164, P = 0.018) were positive correlated with steps/day significantly. BMI (r = -0.14, P < 0.032) and cholesterol (r = -0.139, P < 0.041) showed significantly inverse correlation with energy expenditure and BUN (r = 0.187, P = 0.008) and HDL cholesterol (r = 0.145, P < 0.037)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ergy expenditure. Pedometer-determined steps/da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nergy expenditure (r2 = 0.824, P < 0.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objective quantification of physical activity measured by simple and inexpensive pedometers. It could be used to recommend walking exercise since the practitioners can estimate steps/day for required energy expenditure. (J Kor Diabetes Assoc 31:83~88, 2007)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