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최인훈의 희곡 『달아 달아 밝은 달아』에 주인공 심청의 여성성을 밝히고, 심청의 희생과 비극적 결말이 갖는 근대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있다. 1978년에 발표된 최인훈의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고전소설 『심청전』을 패러디한 작품이긴 하지만, 원전에서 주요 인물과 개안을 위한 인신공양이라는 기본 모티프만을 차용했을 뿐, 작품의 구성과 결말에 있어서는 상당히 변용된 작품이다. 실제 이 작품에는 급격한 산업화, 자본화라는 한국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나타난 부조리한 시대 상황이 상징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심청의 성격과 희생의 의미를 신화적, 원형적, 제의적인 관점에서만 바라보았던 기존의 논의와는 달리, 여성 주의적 관점에서 심청의 여성성을 분석하여 작품 속에서 희생과 비극적 결말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 심청의 여성성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부각되어 형상화되었다. 육체적인 측면에서는 물화되고 식민화된 성적 대상으로서의 여성성이 하나이고, 정신적인 측면에서는 여성의 도덕적 미덕으로 대변되는 심청의 숭고한 정신성이 다른 하나이다. `용`과 `해적`으로 상징되는 남성들이 관능적이며 육체적인 속성을 지닌 반면 그들의 육체적 폭력과 성적 착취를 온몸으로 견뎌낸 심청이 시종일관 드러내는 것은 부모에 대한 효심과 김서방에 대한 애틋한 사랑이었다. 이는 부조리한 세속의 삶과 (남성들의) 육체적 욕망을 초월할 만한 숭고한 정신적 가치로 묘사된다. 결말 부분에서 심청이 재현하는 숭고한 정신성은 남성들의 무자비한 성적 폭력을 온 몸으로 견뎌낸 후 눈 먼 미치광이로 고향에 돌아온 심청의 실제의 삶을 더욱 비극적으로 고양시키는 상징적 기제이다. 그리고 이는 여성성의 문제를 여성들의 실제 경험과 삶으로부터 소외, 분리시키는 문제를 양산했다. 여성 주의적 관점에서 심청이 재현하는 여성성의 두 가지 면모, 즉 성적 대상으로서의 육체성과 그것을 초월할 만한 숭고한 정신성은 남성들의 편견으로 남성 중심 사회의 공고한 성별 상징의 전형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심청의 두 가지 여성성은 사회 전체에 만연된 자본주의적, 남성 중심적 성별 이데올로기를 드러냄과 동시에 근대화 과정 속에서 파생된 한국의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Sim-Chung`s" (the heroine`s) character and then discuss the significant meaning of the character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The story mainly based on the heroine, Sim-Chung`s sexual violence and abuse, is ver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ext of the classical novel called "Sim Chung Jeon", except for the main characters and the motif of a human sacrifice made by the heroine, "Sim-Chung." In terms of feminist perspectives, femininity is organized by various forms of modern discourses and public recognition of females-gender and sexuality or mass media such as movies, TV and performances. Thus, femininity becomes less related with a woman`s nature and her essence. Most of Choi, In-Hun`s dramas including his novels reflect the corruption of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present important and crucial issues in the 1970`s in Korea. As a result, Sim-Chung`s through her image and character in this drama is described as a sex-partner to a man. It implies that a woman is sexually dominated by a man. Another characteristic of Sim-Chung enhanced her noble idea to her lover, Kim Seo-Bang, and her spirit of filial duty towards her father and her. This thesis discovers the characteristics of Sim-Chung, and the significance of represented femininity of Sim-Chung. Femininity in the drama shows the concrete sexual symbolism in Korean moder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