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자궁경부 세포 검사에서 이상 선세포가 나온 환자에서 고등급 병변과 관련된 위험 인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2002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자궁경부 세포검사상 이상 선세포를 보인 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atypical glandular cells (AGC)가 65명, AGC, favor neoplastic이 22명이었다. 조직검사결과를 정상,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I, 비정형성이 없는 자궁내막증식증을 저등급 병변으로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II/III, 상피내선암, 침습암을 고등급 병변군으로 분류하여 고등급 병변군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직생검에 의하면 정상 병변이 53명 (60.9%)이고, 발생 위치에 따라 자궁경부는 상피내종양 I 병변이 1명, 상피내종양 II/III 병변이 10명, 상피내선암이 2명, 침습암이 12명이 있고, 자궁내막은 선암이 5명, 악성 혼합성 뮬러리안 종양이 2명이 있고 그 외 자궁경부상피내종양 II와 비정형성이 없는 자궁내막증식증이 동반된 경우가 1명과 난관암이 1명이 있었다. 고위험 인유두종 바이러스 양성과 AGC, favor neoplastic이 고등급 병변의 위험인자로 유의하였다 (OR 15.4, CI 2.2-109.7; OR 7.0, CI 1.1-42.8). 자궁 경부에서는 고위험 인유두종 바이러스만이 고등급 병변의 위험 인자로 유의하였다 (OR 64.6, CI 4.5-930.8). 자궁내막에서는 연령, 폐경 상태, 세포학적 분류에 따라 저등급 병변과 고등급 병변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결론: 고위험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검출은 자궁경부 세포 검사에서 이상 선세포를 보인 여성에서 고등급 병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 결과는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이상선세포를 보인 여성의 부가 검사로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that may predict high grade lesions in glandular cell abnormalities on cervical cytology.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5 and included 87 cases of glandular cell abnormalities on Pap smear. Among them, 65 (74.7%) cases were atypical glandular cells (AGC) and 22 (25.3%) cases were AGC, favor neoplastic. The histologic diagnoses were classified as low grade lesions [normal,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I, and simple hyperplasia without atypia] and high grade lesions [CIN II/III, adenocarcinoma in situ (AIS), and invasive cancer]. Results: Fifty-three (60.9%) cases had negative biopsies or cervicitis. Twenty-five cases had cervical lesions including one CIN I, ten CIN II/III, two AIS, twelve invasive cancers. There were 7 endometrial lesions: 5 adenocarcinomas and 2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s. Two patients had one tubal cancer and one CIN II with simple hyperplasia without atypia. High-risk human papillomavirus (HPV) positive and AGC, favor neoplastic cas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grade lesions (OR 15.4, CI 2.2-109.7; OR 7.0, CI 1.1-42.8). In the cervix, only high-risk HPV positiv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grade lesions (OR 64.6, CI 4.5-930.8). In the endometrium, age, menopausal status, and cytologic classific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grade lesions or high grade lesions (p<0.05). Conclusion: High-risk HPV DNA detection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high grade lesions in women with glandular cell abnormalites on their Pap sme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PV testing may be useful as a triage of the management in women with glandular cell abnorma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