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2
18.97.9.172
close menu
Candidate
한국제조업부문의 기업화폐수요함수 추정 , 1972-1992 : 시계열자료와 횡단면자료의 혼합 ( 경제학문헌목록 주제분류 : E4 )
Estimation of Business Demand for Money for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 1972-1992 : Polling Time Series and Cross Section Data
김흥린 ( Heung Rin Kim )
UCI I410-ECN-0102-2008-320-001688398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경영분석의 자료를 이용하고 1972-1992년간 시계열자료와 횡단면자료를 혼합하여 한국 제조업부문의 기업화폐수요함수를 추정하고 분석하는 데 있다. 김흥린 (1992)의 기존 연구에서는 제조업부문의 총기업 화폐수요함수를 추정하는 것이어서 관측치가 18개밖에 되지 않아 소득탄력도와 이자율탄력도는 정태방정식에서 선명하게 나왔으나, 시차 종속변수를 포함하는 동태방정식의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부문을 8개 산업으로 나누어 각 산업의 21개 관측치의 시계열자료를 혼합함으로써 총 168개의 관측치를 얻어 시차종속변수를 포함하는 동태방정식을 추정하고 기업화폐수요의 장·단기의 소득 탄력도와 이자율탄력도를 계산하였다. 추정결과 Scale변수에서는 규모의 경제를 나타냈으며 장기이자율의 탄력도는 -1.0부근으로 나타났다. 최종탄력도를 계산하기 전 8개 산업에서 회귀계수의 동질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먼저 실시한 결과 기울기계수에는 차이가 없고 절편에만 차이가 났으며, 절편에서는 가변수를 사용하여 한국 제조업부문의 최종기업화 폐수요함수를 추정하였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