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그동안 한국의 정부와 사회집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유용한 분석모형으로 인용되어 오던 조합 주의모형의 한국적 적실성을 `사회집단의 지도부 선출과정의 정부개입`이라는 변수의 측면에서 실증해 보고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의 대상으로는 그동안의 권위주의적 경제개발과정에서 대표적인 정부통제의 대상이 되어왔고, 또한 한국의 대표적인 생산자단체로 간주되고 있는 한국노총과 전경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은 시기별 종단분석을 통해서 정부개입의 변화추세를 파악하고자 하였는데, 시기의 구분은 단순한 공화국별 구분을 지양하고 정치체제의 특성별로 유형화하였다. 즉, 정치체제의 안정성과 경쟁성이라는 두 개의 변수를 도입하여 1961년부터 제6공화국까지의 기간을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한국의 경우는 특정한 과도기적인 예외상황을 제외하고는, 실제로는 사회집단의 지도부선출과정 자체에 정부가 개입한 경우는 거의 없었음이 발견되었다. 특히 4공화국과 5공화국이라는 대표적인 권위주의 정치체제하에서도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사회집단의 지도부선출과정에서 직접적인 정부개입이 없었던 점은 특기할 만하다고 보여진다. 이는 이러한 시기에 정부는 지도부선출과정의 개입보다는, 사회집단 지도부의 콥테이션, 경쟁집단의 제한, 독점적 접근통로의 부여, 재정보조 등의 여타의 유인적 통제수단을 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적어도 본 사례에 한정할 경우에는, 조합주의모형 (특히, 국가조합주의모형)의 특성을 구성하는 주요 하위변수중의 하나인 `사회집단의 지도부선출과정의 정부개입`이라는 측면의 경우에는 한국에서는 적실성이 적다고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