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처리를 이용하여 리기다소나무 종자의 활력을 평가하고, 적정 노화 처리 기간 및 온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리기다소나무 종자의 활력은 노화 처리 기간과 온도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노화 처리가 진행되는 동안 종자 발아율과 종자 활력은 크게 감소하였다. 리기다소나무 종자의 노화 지수는 35℃에서 0.31이었으며, 40℃에서 15일 동안 노화 처리한 종자는 활력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노화 지수를 기준으로 한, 리기다소나무 종자의 노화 처리 최적 온도는 대략 37℃ 부근으로 판단되었다. 노화 처리된 종자로부터 빠져나온 용출액을 분석한 결과, 용출액내 무기물과 전기전도도는 노화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노화 처리 시험은 수목 종자의 활력을 평가하는데 매우 적절한 방법으로 판단되었으나, 수종에 따라 종자 특성이 매우 다르므로 다양한 수종에 대해 노화 처리의 최적 조건을 찾기 위해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We tested the seed viability of Pinus rigida using accelerated aging to discover optimum times and temperatures for artificially accelerated aging. Seeds were artificially ag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during different times. The seed viability was affected by the accelerated aging and by temperature with a decline in germination and seed vigor. The aging index of P. rigida seed was 0.31 at 35℃ and seed viability was nearly lost after aging treatment at 40℃ for 15 days. The optimum temperature of P. rigida for the aging test was decided to be approximately 37℃ on the basis of the aging index. Inorganic materials and conductivity of leaching solution from aging seed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ging period. The accelerated aging test was considered to be a suitable method to evaluate the seed viability of tree species. Because seed characters are much different among tree species, however, more studies need to be done to discover the optimum conditions for aging by tree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