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혈관성 치매 집단에서 우울증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밝히고, 치매집단의 두뇌 병소를 확인하여 우울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병소를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초기 단계의 혈관성 치매로 진단받은 노인 35명과 정상 노인 3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두 집단 간에 인구학적인 변인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로 종합적인 인지기능을 평가하였고, Geriatric Depression Scale,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및 DSM-IV(American Psychiatry Association, 1994)의 기준을 사용하여 우울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혈관성 치매 환자들이 정상 노인에 비하여 우울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다는 사실이 발견되었고 우울증의 수준은 인지 기능 중에서 언어적 기억력, 주의 집중 능력, 정신운동 속도 및 집행 기능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 우울증은 음소적 유창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바, 좌반구의 전두엽 영역과 우울증의 밀접한 관련성이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혈관성 치매 환자들의 병소를 좌반구의 전두엽 영역에 손상이 있는 집단과 그 밖의 영역에 손상이 있는 집단으로 나누고 두 집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좌반구 전두엽 영역에 손상이 있는 집단은 정상 노인 집단보다 우울 수준이 유의미하게 더 높았고, 이 집단이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우울 수준을 나타낼 확률이 정상 노인의 6.44배에 이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같은 혈관성 치매 집단이라도 좌반구 전두엽 영역 이외의 영역에 손상이 있는 집단의 우울 수준은 정상 노인의 우울 수준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s in vascular dementia, and to find out the lesion sites in the brain that increase the risk of depression. Comprehensive cognitive functions were assessed by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and several executive function tests. Depression was assessed using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and the DSM-IV criteria. The subjects were 35 patients of vascular dementia in the early stage (CDR 0.5~1) and 35 normal elder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scular dementia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depressive levels than the normal elderly, and that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ontal/executive function, attention, psychomotor speed, and verbal memory.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de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honemic fluenc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left frontal lobe and depression. Based on this result, the vascular dementia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the left frontal group that had lesions in the left frontal lobe and the others that had lesions in other areas besides the left frontal lobe. It was found that only the left frontal group had higher depressive levels than the normal elderl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eft frontal group had an odds ratio of 6.44 for the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depression compared with the normal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