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직무스트레스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남녀관리자에 따른 차이
Differences in Relations Between Job Stressors and Job Stress: Comparisons Between Male and Female Managers
정민정 ( Jung Min Jung ) , 탁진국 ( Jin Kook Tak )
UCI I410-ECN-0102-2009-180-00162724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남녀관리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서비스직에 종사하는 남성 관리자 99명과 여성 관리자 102명으로부터 자료를 얻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5개 직무스트레스원과 세 직무스트레스 변인이 사용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여성 관리자의 경우 좀 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원이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특히 심리적 소진의 경우 남성 관리자 집단에서는 일-가정 갈등과만 유의하게 관련되었으나 여성 관리자 집단에서는 12개 직무스트레스원과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각 집단에서 직무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직무스트레스원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15개 직무스트레스원들은 여성 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모호가 남성 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관리자의 경우 역할과다와 정서노동이 직무스트레스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직무스트레스원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relations of job stressors to job stress between male and female managers. Data were collected 99 male managers and 102 female managers in various service organizations. 15 job stressors and 3 job stress variables were measured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among female managers more various job stressors were correlated with job stress. Particularly job burnout was only significantly cor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for the male group, but was correlated to 12 job stressor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explaining job stress between male and female managers. Generally 15 job stressors explained more variances of job stress for the female group. Role ambiguity was most significant job stressor in explaining job stress for the male group. However, for the female group, role overload and emotional labor were most significant job stressors in explaining job stress.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