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로마기준에 의해 과민성 장 증후군은 설사 우세형과 변비 우세형으로 아형을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증상에 의한 분류가 병태생리의 측면에서 타당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설사 우세형과 변비 우세형 과민성 장 증후군 간에 식전 및 식후의 직장의 감각 및 운동기능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바로스타트를 사용해서 공복시에 순차적인 직장의 확장 자극을 통해서 직장의 감각에 대한 예민도와 순응도를 측정하였고, 이어서 표준 유동식을 투여한 후에 직장의 긴장도의 변화를 보았으며 식후 30분에 다시 순차적인 확장 자극을 통해서 직장의 감각에 대한 예민도와 순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공복시에는 두 아형 간에 직장의 순응도 및 저순응도를 보이는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식후에는 설사 우세형 환자의 직장 순응도가 변비 우세형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저순응도를 보이는 빈도도 유의하게 높았다. 직장 감각에서 불편감이나 통증의 역치와 과민성을 보이는 빈도에 두 아형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식후의 직장 긴장도의 증가가 변비 우세형에서 설사 우세형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과민성 장 증후군에서 증상에 의한 아형 분류는 음식에 대한 직장의 운동 반응, 즉 직장 순응도와 긴장도의 식후 변화와 관련이 있다.
Background/Aims: It is uncertain what difference exists in the rectal motor and sensory characteristics between the diarrhea-predominant (D-IBS) and constipation-predominant (C-IBS) IBS subgroups.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ompliance, sensitivity and postprandial response of the rectum between the D-IBS and C-IBS patients. Methods: Twenty-one D-IBS patients, sixteen C-IBS patients and fourteen healthy contr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a barostat, sequential isobaric rectal distensions were performed, and then the postprandial change of the rectal tone was evaluated. Subsequently, the isobaric rectal distensions were repeated. Results: While no differences in rectal compliance and the prevalence of hypocompliant rectum between two subgroups were observed during the fasting period, the D-IBS patients exhibited lower rectal compliance and a higher prevalence of hypocompliant rectum in the postprandial period compared to the C-IBS patients. A significant postprandial decrease of rectal compliance was observed in the D-IBS patients, but not in the C-IBS patient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subgroups in the threshold pressures for discomfort or pain, the prevalence of hypersensitive rectum and the response of rectal sensitivity to a meal. The postprandial increase of the rectal ton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IBS patients, as compared with D-IBS patients. Conclusions: The symptom-based subgrouping of IBS is related to the responsiveness of rectal compliance and tone to a meal.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5;11:135-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