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HBeAg 양성 만성 B형 간염에 대한 인터페론 치료의 장기 추적관찰 -원발성 간세포암 발생률을 중심으로-
Long-term follow-up of alpha-interferon treatment in patients with HBeAg-positive chronic hepatitis B
최대로 ( Dae Ro Choi ) , 장명국 ( Myoung Kuk Jang ) , 문한국 ( Han Kook Moon ) , 김성만 ( Seong Man Kim ) , 이준호 ( Jun Ho Lee ) , 이자영 ( Ja Young Lee ) , 김경호 ( Kyung Ho Kim ) , 박준용 ( Joon Yong Park ) , 이진헌 ( Jin Heon Lee ) , 김학양 ( Hak Yang Kim ) , 유재영 ( Jae Young Yoo )
UCI I410-ECN-0102-2009-510-001400349

목적 : 만성 B형 간염환자에서 인터페론 알파 치료가 간염의 진행과 생존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다. 저자들은 HBeAg 양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인터페론 알파 치료가 환자의 임상적 결과와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8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에서 생화학, 혈청학, 영상검사 및 간 조직 생검으로 확진된 HBeAg 양성, 만성 B형 간염환자 중에서 인터페론 치료를 받은 9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터페론 투여 종료 후 1년 이내에 HBeAg이 최소 2회 이상 연속으로 소실된 경우를 지속적 반응군으로 정의하였다. 직접 환자와 전화하거나 환자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자료를 확인하였으며, 치료 후 추적 조사가 되지 않는 환자들은 한국중앙암등록본부의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Kaplan-Meier 방법을 이용하여 누적 생존율 및 간세포암의 누적 발생률을 확인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는 남자 78명, 여자 20명이었고, 평균연령은 32.4±10.7세였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92.0±45개월이었다. 총 98명의 환자 중 38명(39%)에서 초기 반응을 보였으나, 12명에서 재발하여 지속적 반응을 보인 경우는 26명(27%)이었다. 6명(6%)에서 간세포암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연령(39세 이상)이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간세포암 발생률이 높았다(p<0.001). 간부전, 정맥류 출혈 등 간 질환과 관련된 사망은 9명(9.2%)이었으며 양군간 생존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HBeAg 양성인 만성 B형 간염을 인터페론으로 치료했을 때, 지속적인 반응이 유지되는 환자군에서 생존기간이 연장되고, 간세포암 발생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인터페론 치료 시작 당시의 나이가 많은(39세 이상) 환자군에서 간세포암 발생 위험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인터페론 반응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생존기간 향상 및 간세포암 발생률 감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군에서 장기간의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Data on the long-term effects of interferon alpha (IFN) treatment on disease progression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CHB) are limited. To evaluate factors that influence clinical outcome and survival, we performed a follow-up study on hepatitis B e antigen (HBeAg) positive CHB patients treated with IFN. Methods : A total of 98 patients with biopsy-proven HBeAg-positive CHB were treated with IFN- between 1988 and 2000 and followed. Data were collected by review of medical record, direct contact, or using database from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Sustained response (SR) to treatment was defined as HBeAg loss within 12 months after the end of IFN therapy and maintenance of HBeAg negativity for at least 3 years. We tried to fi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cidence and survival. We also compared the cumulative rate of HCC and survival between SR group and non-sustained response (NSR)/nonresponder group. Results : The mean IFN dose was 375±205 mega units. Mean follow-up was 92.0 months (SD 45 months). Twenty-six patients (27%) had sustained response to IFN treatment, although transient response was seen in 39% (38 out of 98 patients). Nine patients died of liver-related causes (hepatic failure, variceal bleeding) during follow-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linical outcomes such as survival and HCC incidence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p=0.18, p=0.10, respectively). However, HCC developed in 6 patients, all of whom were nonresponders with an age older than 39 years. Conclusion : Age of 39 years and above at the time of IFN treatment might increase the risk of developing HCC. Therefore, interferon should be applied at the younger age to prevent HCC in patients with HBeAg-positive CHB.(Korean J Med 69:150-156, 2005)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