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철분과잉상태는 간염바이러스 및 알코올에 의한 만성간염에서 질환의 경과 및 치료효과에 악영향을 미치고 간손상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HBV, HCV), 만성 알코올성 간염환자 및 간경변증 환자에 있어서의 혈중 철대사에 관계되는 여러 지표를 비교하여 간세포 손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하였다. 방법 : 각종 감염성 질환, 혈액질환 환자를 제외한 총 60명의 만성간염(HBV: 31명, HCV: 19명, 알코올성: 10명) 환자와 비대상성 간경변증을 제외한 총 47명의 간경변증 환자(HBV: 29명, HCV: 8명, 알코올성: 10명)를 대상으로 혈청내 철, ferritin, TIBC 농도를 측정하여 각 군간 간질환의 원인에 따라 의의있는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지표와 간손상의 정도를 반영하는 혈청 간기능 지표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 만성 간염군과 간경변증군에서의 성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간경변 환자군에서 만성 간염군에 비해 ferritin 농도가 의의있게 높게 관찰되었으며(167.9±15.6, 125.5±12.6ug/L, p<0.05) 반면 TIBC는 낮게 측정되었다(284.7±48.7, 337.5±79.8ug/dL p<0.05). 각 군간 원인에 따른 분석에서 알코올성 간염의 경우 혈청 철 농도 147.9±33.5ug/dL로 각각 만성 B형 및 만성 C형 간염 환자 122.5±14.6, 125.5±15.2ug/dL에 비해 증가된 소견을 보였고(p<0.05) ferritin 농도 또한 알코올성 간염의 경우 만성 B형 및 만성 C형 간염 환자에 비해 증가되었다(134.5±19.8 Vs 114.5±11.5, 120.5±14.7ug/L, p<0.05). 간경변증군에서는 알코올성의 경우 혈청 철 농도 159.5±68.9ug/dL로 B형 및 C형 간염에 의한 간경변증환자 132.8±35.7, 129.7±22.7ug/dL에 비해 증가된 소견을 보였고(p<0.05) ferritin 농도 역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189.4±89.4 Vs 148.7±54.5, 155.4±59.6ug/L, p<0.05). 그러나 TIBC는 원인에 따른 각 군간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만성간염환자군에서 혈청 ferritin과 ALT 값이 의의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만성 B형 및 C형간염에 비해 특히 알코올성 간염에서 의의있게 나타났다(r=0.612, r=0.743 p<0.001). 결론 : Iron parameter는 각종 간질환의 원인에 따라 다르게 관찰되었다. 철분 과잉상태는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다른 원인에 비해 의의있게 관찰되었고, 혈청 ferritin 값이 간손상의 지표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Background : Iron is essential for life, but iron overload state cause potentially fatal health risk. There is growing evidence that only mildly increased amounts of hepatic iron can be damaging, particulary if combined with other hepatotoxic factors such as alcoholic or chronic viral hepatits B,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erum iron status of patients with various forms of hepatitis and cirrhosis of liver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hepatocyte damage (expressed as ALT activity) and status of serum iron parameters. Methods : Our research involved 107 patients (69 male ranging in age from 27-67 and 38 female ranging in age from 32-62) diagnosed with chronic viral hepatitis B or type C, alcoholic hepatitis or cirrhosis of the liver. Serum iron parameters such as serum iron, ferritin, TIBC, and aminotransferase measured as necroinflammatory activity in Chronic hepatitis. Results : There was no difference s-iron level between chronic hepatitis and cirrhosis but,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ic hepatitis and cirrhosis than viral hepatitis and cirrhosis respectively. s-Ferriti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irrhosis than hepatits group, and more higher in alcoholic hepatitis and cirrhosis than viral hepatitis and cirrhosis respectively. In chronic hepatitis groups,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T and s-ferritin level regardness of etiology. Conclusion : Serum iron overload state was prominent in alcoholic hepatitis and cirrhosis than viral hepatitis and cirrhosis. High serum ferritin level can predict hepatocyte damage in chronic hepatitis.(Korean J Med 69:144-149,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