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는 심근 부하가 증가되거나 심실 수축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분비되어 신장에서 수분과 염분의 배설에 관여한다. BNP의 증가와 신기능 저하는 심부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BNP가 증가하한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심부전에 대한 검사로의 BNP의 유용성과 심부전 진단을 위한 경계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에 2003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내원한 신부전 환자 중 혈청 BNP를 측정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혈액검사 소견, 심초음파 소견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신부전 환자 총 75명(K/DOQI Chronic Kidney Disease (CKD) stage III는 4명, stage IV는 9명, stage V는 62명)의 평균 BNP는 1,645.3±1,830.9pg/mL으로 stage에 따른 BNP의 차이는 없었다(stage III : 2,267.9±1,944.5pg/mL, stage IV : 1,774.5±1,390.2pg/mL, stage V : 1,586.4±1,896.3pg/mL). 신부전 환자 중에서 심부전이 있는 군의 BNP는 심부전이 없는 군보다 높았다(CHF : 2,409.1±1,956.3pg/mL, non-CHF : 1,196.6±1,677.1pg/mL, p=0.04). BNP는 심부전 동반, 입원시 폐울혈, 체중 증가, 좌심실 구혈율이 50% 이하, 허혈성 심질환이 있는 경우에 의미있게 높았다. 좌심실 비대나 당뇨병의 유무에 따른 BNP의 차이는 없었다. 신부전 환자에서 심부전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BNP의 경계치로 500pg/mL 이상일 때 민감도는 78%, 특이도 53%, 양성 예측도 34%, 음성 예측도가 88%이었다. 결론 :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BNP는 증가되어 있었으나, 신부전 정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신부전 환자에서 BNP 측정은 심부전의 동반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며, 만성 신부전 환자의 체액 용적 상태를 평가하고 심부전과 좌심실 기능 장애, 허혈성 심질환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Background :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regulates excretion of water and sodium in the kidney, and serum levels of BNP are increased in the settings of decreased ventricular contractility and myocardial overload. Serum levels of BNP and renal function a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in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when renal function deteriorates, BNP level is increased.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clinical benefits of BNP measure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KD) for prediction of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Methods : Serum levels of BNP were measured in 75 patients with CKD who admitted to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between the period of April 2003 and April 2004. The clinical data, laboratory findings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in these patients were compared retrospectively. Results : The average BNP level of the 75 patients was 1,645.3±1,830.9pg/m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NP levels between K/DOQI CKD stages. Levels of BNP were higher in CKD patients with heart failure compared to those without heart failure. BNP level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o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and significant elevation in patients with pulmonary congestion and weight gain on admis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BNP levels in patients with or without left vetricular hypertrophy, and diabetes mellitus. The best cutoff level of BNP for evaluation of heart failure in patients with CKD was 500pg/mL, with a sensitivity of 78%, specificity of 53%,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34%,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88%, respectively. Conclusion : BNP levels showed no difference with the degree of renal failure in patients with CKD, and levels were increased with heart failure in patients with CKD. We discovered though, that in patients with CKD the measurement of serum BNP is a useful factor in assessment of coexisting heart failure, volume status and ischemic heart disease.(Korean J Med 69:135-143,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