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의 고도성장 지속가능성에 관한 논의의 일환으로 서독과 일본에서의 경제성장의 정체요인을 분석한다. 1960년대 이후성장이 정체된 원인으로서 이윤압박으로 인한 고정자본 증가율의 하락, 다양한 이익집단의 등장으로 인한 경제효율성의 저하, 미국과의 기술격차 축소로 인한 catch-up 성장효과의 감소, 그리고 경제성장의 목표와 수단에 대한 사고의 변화라는 네 가지의 요인을 검토한다. 이들은 모두 성공적인 경제성장의 결과로 나타난 요인들이라 할 수 있다. 한때는 경제기적이라 불렸던 이들 두 나라의 성장정체요인을 현재의 한국에 적용해 본다. 대체적인 결론은 한국의 고도성장 전망은 아직도 밝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