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정보통신부의 발족과 더불어 기대되었던 정보통신 관련 정부기능의 통합성은 여전히 미약하다. 또한 21세기를 앞두고 정보화는 국가발전의 최우선 정책과제이며, 이를 추진하기 위한 추동력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현재의 정부조직 체계로 볼 때 이 점이 미흡하다. 이 글은 먼저 정보통신 관련 정부조직의 당면 문제점으로서 정보화 사업에 있어서 기획 및 조정기능의 취약성, 정보통신 관련 계획간의 연계성 부족, 정보통신 관련 법·제도 개선기능의 취약, 개별 부처수준에서 정보화 촉진기구의 취약성, 정보통신 정책영역에 있어서의 지나친 단편화 현상, 그리고 통신·방송의 융합에 대비한 조직적 대응 태세의 미흡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서는 거시적 조정체제의 구축과 정보통신 관련 기능분담의 수평적 재분배가 시급하다고 보고, 조직개편 방안으로서 정보통신부를 정보통신원으로 격상시키는 안과 청와대에 정보통신수석실을 두는 안을 제시하였다. 첫번째의 정보통신원은 부총리급기관으로서 정보통신산업 관련 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정보화 예산의 우선 심의권을 부여받음으로써 명실상부한 정보통신 관련 정책의 기획, 추진 및 조정기관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둘째의 정 보통신수석실은 정보화 및 정보통신 문제에 대해 대통령을 자문하고 조정기능을 수행하며, 정보통신자문회의를 통해 전문성의 확보와 민간부문의 참여를 조장할 수 있다. 이상 두 개의 안은 공히 통신과 방송기능의 융합과 각 부처에 국장급 정보화책임자를 두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