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후보
경기도 수원시와 평택시의 5개 담수호소의 식물플랑크톤 분포 및 현존량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at Five Freshwater Lakes in Suwon-si and Pyongtaek-si, Gyeonggi-do
문병렬 ( Byeong Lyeol Moon ) , 남미라 ( Mi Ra Nam ) , 이옥민 ( Ok Min Lee )
UCI I410-ECN-0102-2009-470-002186094

경기도 수원시와 평택시에 위치한 광교저수지, 원천저수지, 서호, 남양호, 아산호 등 5개 호소에 대해 2003년 3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4회의 채집을 실시하고,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및 현존량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수역에는 5문, 5강, 1아강, 16목, 26과, 1아과, 72속, 167종, 28변종, 1아종, 3품종의 총 199분류군의 식물플랑크톤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식물플랑크톤 중 청정수역을 지표하는 분류군은 9월 광교저수지에서 Cladophora glomerata의 1분류군만이 출현하였으나. 오염수역을 지표하는 분류군은 Oscillatoria chlorina를 포함한 2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또한 각각 9분류군과 4분류군의 이취미 및 독성물질을 분비하는 분류군들이 출현하였다. Chlorophyll-α 농도에 대한 Yang and Dickman이 제안한 기준에 따르면 서호, 원천저수지, 남양호, 아산호는 과부 영화 상태이며, 광교저수지는 동계에는 빈중영양 상태이고 나머지 계절은 부영양화 상태로 나타났다.

The distribu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phytoplankton were investigated at five freshwater lakes Suwon-si and Pyongtaek-si, Gyeonggi-do from Mar. to Nov., 2003. In this investigation, 199 taxa in total were found and classified as 5 phylums 5 classes 16 orders 26 families 72 genera 167 species 1 subspecies 28 varieties and 3 forms by Engler`s classification system. The indicator species of clean water was Cladophora glomerata, which was appeared in Gwanggyo reservoir on September, 2003. Twenty taxa including Oscillatoria chlorina were identified as the indicators of water pollution, and three taxa of cyanophyte were toxic algae. In terms of Yang and Dickman`s standard of chlorophyll-α content in eutrophication of water, four lakes including Seo lake were found to be in the hypereutrophic state, and Gwanggyo reservoir was in eutrophic state except in winter.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