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역량으로 간주되는 유아의 놀이행동과 놀이성을 보육 프로그램의 질 평가변인들을 통해 차이를 분석하고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라 사회적 놀이행동, 단독-적극적 놀이, 단독-수동적 놀이, 사회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보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놀이행동과 놀이성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또한 보육 프로그램의 질 평가 변전들을 통해 유아의 놀이행동과 놀이성을 예측한 결과 구조적인 질 변인인 교사의 교육경력, 학급크기, 교사 대 유아의 비율과 전반적인 질 평가 변인인 교사와 유아 상호적용, 학습환경, 교육과정, 개별화 등이 유아의 놀이행동과 놀이성을 예측하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보육의 질과 아동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상반적인 연구결과들에 대해 결정적이고 실증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playfulness that are associated with child care quality. 122 Child care centers and 97 kindergarten teachers under the Catholic Church were randomly sampled in Gyunggi--do including Seoul. Questionnaires were used assess child care quality features(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APECP), children`s play behaviors(Preschool Play Behavior Scale) and playfulness(Children`s Playfulness Scale). Overa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playfulness, such as social play behavior, solitary-assertive play, solitary-passive play, social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humor of child care quality.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structural dimensions(teacher`s education, group size, child: adult ratio) and process dimensions(interaction, learning environment, curriculum, individual) best predicted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playful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