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 대상 원어민 교사들의 직무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한국적응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수도권지역 아동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원어민 교사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원어민 교사의 직무환경만족도, 한국적응 및 소진에 대한 질문지를 제작하여 활용하였다. 질문지는 원어민 교사에 관련된 개인정보를 포함하여 총 9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상관관계, 단계별 중다회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원어민 교사의 직무환경만족도, 한국적응 관련변인이 소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과 관계, 주변 생활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원어민 교사의 소진 경험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는 원어민 교사의 아동과의 관계에서의 만족도와 주변의 기본적인 생활시설이나 문화적 적응을 높이는 것이 원어민 교사의 소진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관권임을 알려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원어민 교사의 국내 적응과 소진 예방을 위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of foreign English teachers for young children living in Korea and their cultural, personal adjustment to Korean life, and their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6 foreign teachers who have taught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do area.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containing 96 questions.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produce statistical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s that foreign English teachers who have a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adjustment to Korean life appear less burnout as a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adjustment to Korea life have 46% and 36% of predictability on the burnout of foreign English teachers living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o generate practical suggestions for less burnout of foreign English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