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아동기 부모교육,상담을 위한 부모역할지능척도의 타당화
A Study on Parental Intelligence Scale Development and Validityin Parent Education / Counselling at Childhood
현미숙 ( Mi Sook Hyon ) , 이소희 ( So Hee Lee )
UCI I410-ECN-0102-2009-370-002218467

본 연구는 아동기 자녀를 둔 부모들을 위해 부모교육 장면과 상담 현장에서 활용 할 수 있는 `부모역할지능 척도(PIS:Parental Intelligence Scale)`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PIS를 타당화하기 위해 상황적으로 분류된 3개의 집단 간에 차이검증을 실시하였고, PIS가 부모정신건강 측면 및 아동문제행동 측면에서 이를 판별할 수 있는 예측요인들을 포항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하여 예측타당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부모집단과 부모교육이수집단, 치료아동부모집단간의 차이가 수용, 공감, 통제, 격려, 증진 등 5개의 구인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부모집단과 문제가 없는 부모집단을 가장 잘 판별해주는 차원은, 거부, 공감, 그리고 합리적 권위 차원 순서로 나타났으며, 약 79%에 해당하는 사례를 올바르게 판명하는 구인들로 확인되었다. 한편 문제를 보이는 아동집단과 보이지 않는 아동집단을 가장 잘 판별해주는 차원은 격려, 융통성, 통제차원 순서로 나왔고, 약 72%에 해당하는 사례가 세 구인에 의해서 올바르게 판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부모교육 개입을 통해 부모역할지능이 향상되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PIS 문항비율은 약 66%이고, 임상장면에서 부모정신건강과 아동문제행동에 대한 예견적 시사를 줄 수 있는 문항비율은 약 80%이다. PIS의 8개 구인은 부모교육과 임상장면에서의 개입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 되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validate the `Parental Intelligence Scale`, which can be applied in the parent education and counselling and provide more useful information for more appropriate interventions by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roles and strong/weak points of the parent`s roles under the special situation and environments. In order to validate the developed Parental Intelligence Scale, group comparison tests were conducted between 3 groups; parent group who had completed the parent education class; that who ever had brought their children in child clinic; and other general parent group. Predictive validity tests with K-CBCL and SCL-90-R were performed. The outcomes of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3 parent groups, and the sub-factors which categorized the groups were empathy, encourage, enhancement, acceptance and control. The discriminant factor between with- and without-problem group in mental health were rejection, empathy and rational authoritativeness, which explained about 79% of the whole population cases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scriminant factor between with- and without-problem group in child behavior were encourage, flexibility and control, which explained about 72% of the whole population cases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s, the enhancement of parental intelligence through intervention of parent education can be evaluated with 66% of PIS items.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 eight sub-factors in Parental Intelligence Scale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improvement of parent`s rol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