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수소와 액화석유 가스의 공기혼합기의 폭발 후 화재로 전이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Hydrogen-Air and LPG-Air Explosion to Fire
오규형 ( Kyu Hyung Oh ) , 이성은 ( Sung Eun Lee ) , 이광원 ( Kwang Won Rhie )
UCI I410-ECN-0102-2009-530-00188351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실린더형의 내용적 6리터의 용기를 이용하여 수소와 액화석유 가스(LPC)의 폭발 특성을 측정하였고 270리터의 직육면체 용기를 이용하여 폭발 후 화재로의 전이 현상을 실험하였다. 폭발 특성은 strain type 압력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폭발 후 화재로의 전이 현상은 고속카메라로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견과 완전 연소 농노 비보다 약간 놀은 농도에서 최대 폭발압력을 나타내었다. 폭발압력 상승 속도와 화염 전파속도는 연소속도와 비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폭발 특성들은 폭발 후 화재로의 전이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폭발화염온도, 화염의 용기 내 체류시간 등도 폭발 후 화재로의 전이에 중요한 변수가 됨을 알 수 있었다.

Gas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hydrogen and liquefied petroleum gas(LPG) were measured in 6L cylindrical vessel, and experiment for explosion to fire transition phenomena of the gases were carried out using the 270L vessel. Explosion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using the strain type pressure transducer and explosion to fire transition phenomena was analyzed with the high-speed camera. Base on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explosion pressure was most high slightly above the stoichiometric concentration, and explosion pressure rise rate and flame propagation velocity were proportional to the combustion velocity. And we find that those kind of explosion characteristics affect the explosion-to-fire transition, in addition, explosion flame temperature, flame residence time, are important parameters in explosion-to-fire transi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