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SCOPUS
잣나무 조림지의 탄소수지에 관한 연구
Original Research : A Study on the Carbon Budget in Pinus koreansis Plantation
표재훈 ( Jae Hoon Pyo ) , 김세욱 ( Se Uk Kim ) , 문형태 ( Hyeong Tae Mun )
UCI I410-ECN-0102-2009-470-00218864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공주 근교의 15년 된 잣나무 조림지에서 물질생산을 통한 탄소고정 량과 토양호흡을 통한 탄소 방출량을 조사하였다 연 순생산량은 상대생장법에 의해 보고된 물질생산 식을 이용하석 측정하고 이것을 이산화탄소의 고정량(순 흡수량)으로 환산하였다. 토양호흡은 대조구, 뿌리제 거구, 낙엽제 거구로 구분하여 2001년 4월 부터 2002년 4월까지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때 토양온도, 토양수분함량도 함께 측정하였다. 이들 자료를 기준으로 잣나무 조림지의 탄소수지를 파악하였다. 조사지역 잣나무 조림지의 연 순생산량은 25.7t·ha^(-1)·yr^(-1)이었으며, 이를 CO₂량으로 환산한 결과 연간 CO₂고정량은 42.5 t CO₂·ha^(-1)·yr^(-1)이었다. 잣나무 조림지 대조구의 연간 총 호흡량은 5.0 t CO₂·ha^(-1)·yr^(-1)이었다. 연간 이산화탄소 발생량 중 낙엽층의 기여도는 전체의 32.0%, 뿌리의 기여도는 46.0%이었다. 임목밀도에 따라 연 순생산량에 차이가 있지만 본 조사지역의 경우 CO₂순 흡수량과 토양호흡에 의한 방출량의 차이는 37.5 t CO₂·ha^(-1)·yr^(-1)로 삼림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Amounts of CO₂fixed by net primary production and released by soil respiration were determined on big-cone pine plantation. Net primary production, which was determined by allometric method, was converted into CO₂. CO₂evolution in forest ecosystems are mainly through soil and root respiration. In order to separate root respiration from soil respiration, root-free sites were made in stand. Litter removal sites were prepared to estimate CO₂evolution through litter layer. Respiration was measured at every two weeks intervals from April 2001 through April 2002, and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Net primary production of this big-cone pine plantation was 25.7 t·ha^(-1)·yr^(-1). The amount of CO₂ fixed by this plantation was 42.5 t CO₂·ha^(-1)·yr^(-1). The amount of CO₂ released by soil respiration was 5.0 t CO₂·ha^(-1)·yr^(-1).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root respiration and litter layer respiration to total respiration was 46% and 32%, respectively. Net amount of fixed CO₂was 37.5 t CO₂·ha^(-1)·yr^(-1) in this big-cone pine plantation. From this result, this big-cone pine plantation play a carbon sink source from the atmosphe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